SK 3세 최윤정 공식 행사 나서…“SK바이오팜, 2027년까지 RPT 글로벌 선두”
SK바이오팜, 'RPT 사업 추진 로드맵’ 발표…2027년까지 글로벌 리딩 RPT 플레이어 목표
SK 최태원 장녀 최윤정 사업개발본부장, 발표 직접 나서 '눈길'
외부 후보물질 도입, 방사성 동위원소 공급망 확보, RPT 신약 개발 역량 내재화 집중

[서울경제TV=이혜란기자] SK그룹 오너3세 최윤정 사업개발본부장이 오늘(30일) SK바이오팜의 방사성의약품(RPT) 사업 로드맵을 발표하는 자리에 직접 나섰다.
SK바이오팜은 오전 10시 투자자와 애널리스트, 언론인을 대상으로 컨퍼런스콜을 진행했다. 이 자리에서 SK바이오팜은 기술적으로 초기 단계에 있는 RPT의 포트폴리오를 완성하고, SK바이오팜이 RPT 기술 글로벌 리더로 안정적인 제조/생산 네트워크를 구축하겠다는 계획을 공개했다.
행사는 이동훈 SK바이오팜 사장의 인사말을 시작으로 최윤정 본부장의 ‘RPT 사업 로드맵 발표’로 이어졌다

RPT 개념. [사진=SK바이오팜]
SK바이오팜이 신성장동력으로 낙점한 ‘RPT’는 세포를 사멸시키는 방사성 동위원소를 표적에 결합하는 물질에 탑재한 후, 미량을 체내에 투여하여 치료하는 차세대 항암 기술이다. RPT 영역은 방사성 동위원소를 취급한다는 특성에서 기인하는 짧은 반감기와 취급의 복잡성, 그리고 동위원소 확보의 어려움으로 인해 시장 진입 장벽이 비교적 높은 것으로 평가된다.
앞서 SK바이오팜은 지난 7월 풀라이프 테크놀로지스를 통해 NTSR1 타겟 방사성의약품 후보물질인 ‘SKL35501(구 FL-091)의’ 글로벌 개발 및 상업화 권리 도입 계약을 체결했다.
SKL35501은 대장암·전립선암·췌장암 등 다양한 고형암에서 과발현되는 수용체 단백질인 NTSR1에 결합하는 저분자 약물로, 향후 Best-in-Class(계열 내 최고 약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번 후보물질 도입은 초반 개발 기간을 줄이고, RPT 시장 진입 시간 단축에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RPT 개발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인 치료용 방사성 동위원소도 확보했다. SK바이오팜은 지난 28일 테라파워와의 공급 계약을 통해 RPT 개발에 필요한 고순도 Ac-225(악티늄-225)를 공급받기로 했다.
최 본부장은 “RPT 시장에서 공급에 어려움이 있는 고순도 Ac-225를 안정적으로 확보했다는데 SK바이오팜이 이점이 있다”고 평가했다. SK바이오팜은 향후 다양한 공급 파트너사 탐색을 통해 Ac-225의 공급망 다변화도 진행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RPT 비즈니스 로드맵. [사진=SK바이오팜]
SK바이오팜은 지속적인 성장동력 확보를 위한 RPT 신약 개발 역량의 내재화도 추진한다. 기존 SK바이오팜이 가진 화합물 설계 역량을 RPT 신약 설계까지 확장해, Ac-225에 특화된 자체 RPT 플랫폼 기술을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SK바이오팜은 지난해 9월 한국원자력의학원과 MOU를 체결하고 다양한 연구 협력을 진행 중이다.
이동훈 SK바이오팜 사장은 “매력적인 시장에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진입할 수 있도록 그룹의 지원과 함께 전사적 역량을 집중해 왔다”며 “앞으로도 계속 RPT 비즈니스 밸류체인들을 갖추어 나가는 모습을 시장에 보여 드릴 예정이고, 결국 글로벌 RPT 시장의 리딩 플레이어 중 하나로 그 가치를 인정받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금일 발표를 맡은 최 본부장은 최태원 SK그룹 회장의 장녀로 2017년 경영전략실 전략팀에 선임매니저로 입사했다. 지난해 실시된 SK그룹 임원 인사에서 SK바이오팜 사업개발본부장으로 승진하며 그룹 내 최연소 임원으로 이름을 올렸다. /rann@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오세훈 서울시장 “10·15 대책 대폭 수정해야”
- 국토부, 올해 동계 항공편 운항 일정 확정…국제선 회복세 뚜렷
- 자립준비청년 정신건강 진료 5년간 30% 증가…구조적 관리 필요
- 日, 트럼프 방일 시 美와 조선업 협력각서 체결 조율
- 최선희 北 외무상, 러시아·벨라루스 방문…북미 정상 만남 불발되나
- 국내 유통 CEO들 한자리에…APEC서 글로벌 네트워크 강화
- 李대통령, 아세안 참석차 말레이 향발…정상외교 슈퍼위크 시작
- 현대건설, '국내기업 최초' 美 대형원전 프로젝트 수행계약 체결
- 동해 심해 가스전 사업, 정부 제동 가능성…BP 우선 협상 논란 확산
- 기후변화에 자취 감춘 중·대형 고등어…수입산 비중 확대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촛불은 꺼지면 안 된다”…여수촛불행동, 사법개혁·여수MBC 이전 반대 외쳐
- 2임미애 의원 “국산밀 재고 창고에 쌓이는데 농식품부는 ‘가루쌀’ 더 챙겨”
- 3경북테크노파크·한국전자파학회, 무선전력전송 기술 학술워크숍 개최 및 MOU 체결
- 4대구대, ‘취업 스테이션’ 홍보 행사 열어
- 5대구교통공사, ‘대구자활 별별순회장터’ 개최
- 6iM뱅크(아이엠뱅크)-LH대구경북지역본부, ‘ESG가치 실현 위한 탄소 중립 활동’ 금융 지원 업무협약 체결
- 7대구지방환경청, 문경 돌리네 습지보호지역 친환경 경작물 가을걷이 행사
- 8대경경자청, '2025 DGFEZ 바이오헬스케어 기업 투자 네트워킹 DAY' 개최
- 9임미애 의원 “농산물 유통개혁의 키 품목농협, 설립조차 어려워”
- 10오세훈 서울시장 “10·15 대책 대폭 수정해야”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