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중립 놓고 해운업계 ‘부담’ 조선업계 ‘미소’

[앵커]
국제해사기구(IMO)가 해양 탄소배출을 줄이기 위한 선박 환경 규제에 나서고 있죠. 기업들도 친환경 기술 개발에 힘을 쏟고 있는데요. 해운업계와 조선업계가 탄소중립을 놓고 상반된 반응을 보이고 있어 눈길을 끌고 있습니다. 김효진 기잡니다.
[기자]
국제해사기구, IMO의 선박 환경 규제가 강화되는 가운데
규제 강화가 해운업계에는 부담으로, 조선업계에는 새로운 기회가 될 전망입니다.
국제해사기구는 해운업계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의 배출을 줄이기 위해 선박 환경 규제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오는 2050년까지 탄소중립을 목표로 규제를 강화하고 있는데, 2008년 대비 2030년 온실가스 배출량을 최소 20%, 2040년까지 최소 70%를 줄여야 합니다.
이렇게 되면 해운업계의 경우 선박운영비용이 늘어날 것으로 관측됩니다. 2050년을 기준으로 최대 80%까지 상승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해운업계는 환경 규제를 맞추기 위해 장기적으로는 친환경 연료 선대로 전환하고 있으며, 단기적으로는 기존 운항 효율을 높이기 위해 바이오 선박유를 섞어 사용하고, 탄소포집 장치 등을 실증 중입니다.
이를 위해 국내 해운업계도 기존 규정보다 엄격한 자체 규정을 수립하고, 관련 투자를 늘리고 있습니다.
[싱크] HMM 관계자
“저희가 최근 2030년 중장기 전략을 발표했습니다. 총 투자 규모는 23조5,000억 원인데요. 이 중에서 14조4,000억원이 친환경 관련 투자입니다”
반면 조선업계엔 환경 규제가 새로운 기회가 될 전망입니다.
암모니아, 메탄올, LNG 등 차세대 연료 추진선 관련 기술을 먼저 확보해야 경쟁력을 갖출 수 있을 것으로 관측됩니다.
특히 컨테이너선의 경우 친환경 연료선으로 엔진을 개조하기도 하는데, 엔진 가격 비중이 높아 실질적으로 새로운 선박을 발주하는 경우가 더 많은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기술 개발이 된다고 해도 해운업계와 조선업계에는 ‘차세대 연료 수급’이라는 과제가 남아있습니다.
현재 선박유로 쓰이는 벙커씨유는 저품질 석유로, 선박유 외 다른 사용처가 전무합니다. 반면 LNG와 메탄올, 이산화탄소와 수소 같은 차세대 연료는 현재 육상에서도 청정 연료로 각광 받고 있는 상황.
차세대 연료 기술이 개발되더라도 선박유로의 원활한 수급 확보가 필요한 상황입니다.
서울경제TV 김효진입니다. /hyojeans@sedaily.com
[영상편집 김가람]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산업부, 연구개발·기술사업화 장비구축에 2400억원 투자
- 여야 '5월 조기대선' 가능성에 '고심 VS 본격화' 대응
- KT, 에이블스쿨 잡페어…“실무 역량 갖춘 AI 인재 채용"
- KT, MWC 2025 참가…대한민국 AI 기술력 알린다
- LG엔솔, 차세대 원통형 배터리 46시리즈 공개
- 삼성SDI, '인터배터리 2025'서 차세대 제품·기술 공개
- ‘3대 폼팩터 모두 공개’ SK온, 인터배터리 2025 참가
- [김효진 기자의 heavy?heavy!] 美 공장 건설이 답일까…셈법 복잡해진 국내 철강업계
- "이번엔 팔릴까"…'몸값 4조' SK해운, HMM 우선협상자 선정
- 대법원, 형사소송규칙 개정…이재명 사건재판도 영향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산업부, 연구개발·기술사업화 장비구축에 2400억원 투자
- 2광주 북구, 대한민국 건강고령친화도시 정책대상 ‘우수상’ 수상
- 3여야 '5월 조기대선' 가능성에 '고심 VS 본격화' 대응
- 4KT, 에이블스쿨 잡페어…“실무 역량 갖춘 AI 인재 채용"
- 5KT, MWC 2025 참가…대한민국 AI 기술력 알린다
- 6LG엔솔, 차세대 원통형 배터리 46시리즈 공개
- 7삼성SDI, '인터배터리 2025'서 차세대 제품·기술 공개
- 8‘3대 폼팩터 모두 공개’ SK온, 인터배터리 2025 참가
- 9"회장 임기 채워라" "배당 과도"...이복현이 부른 금감원장 영역 논란
- 10월가 몰려간 서학개미 잡아라…증권가, 해외 주식 세미나 잇따라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