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투세 갑론을박에 증시 또 흔들…왜 결론 못내나
정은보 이사장 "금투세 도입 시기상조"
한투연 "금투세 폐지만이 정답"
정치권 "인버스 투자하라"논란 일어

[앵커]
우리 주식시장, 아직도 큰 불확실성이 남아있습니다. 금융투자소득세(금투세) 시행 여부인데요. 지난 2020년 여야 모두 같은 취지의 법안을 발의하며 합의로 통과시켰던 금투세. 왜 시행을 99일 남겨둔 지금까지 논란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을까요. 김보연 기자입니다.
[기자]
지난 2020년, 금투세는 여야 합의로 도입됐습니다. 추진 배경은 조세 형평성입니다. 금투세는 주식, 채권, 펀드, 파생상품 등에 투자해 얻은 수익에 부과하는 세금입니다. 위 금융상품에 투자해 얻은 수익에 부과하는 세금 연간 수익이 주식 5,000만원, 기타 250만원을 넘으면 초과한 소득의 20~25%만큼 세금을 부과하는 것이 골자입니다.
금융투자상품의 과세 기준이 제각각 다르다는 문제도 있습니다. 해외주식이나 비상장주식은 세금을 내나 소액 상장 주식의 경우 비과세라 매매 차익에 대해서는 세금을 매기지 않습니다. 이에 근로·사업 소득과 형평성 문제가 떠오른 것입니다. 당시 금투세는 소득이 있는 곳에 과세한다는 원칙에 맞고 손실을 고려해 주식시장에 장기 투자할 수 있는 환경이 마련될 수 있을 것이라고 했습니다.
다만 코리아 디스카운트라는 말이 생길 정도로 우리 증시가 저평가받자 시각이 바뀌었습니다. 올 들어 미국 나스닥이 17%, 일본 닛케이지수가 9% 오를 동안 코스피는 3% 하락했습니다. 금투세 시행에 대한 부정적 견해가 더 커진 이유입니다. 전날 열린 코리아 밸류업 지수 관련 간담회에서 정은보 한국거래소 이사장도 금투세는 시기적으로 시행하기 어렵다고 판단한다고 밝혔습니다. 아직 우리 증시 체력이 미진하다는 이유에서입니다.
[싱크] 정의정/한국주식투자자연합회 대표
“박스피가 심화된 우리 주식시장에서 금투세는 폐지만이 정답입니다. 유예는 불확실성 증폭으로 우리 증시를 짙은 안갯속에 머물게 하는 것으로 결코 우리나라 증시가 레벨업될 수가 없습니다."
금투세 시행이 정치권에서도 인버스 투자(주가 하락에 베팅해 수익을 얻는 투자 기법)등 논란의 중심에 서면서 우리 증시 또 흔들거리는 모습입니다.
서울경제TV 김보연입니다. /boyeon@sedaily.com
[영상편집 유연서]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K-원전, ETF로 담다" 신한운용, ‘SOL 한국원자력SMR’ 신규상장
- 헝셩그룹, 고궁박물관과 굿즈 생산계약…"제품 카테고리 확장"
- 클로봇, 고려아연 온산제련소에 4족 보행로봇 'SPOT' 공급
- 지니언스, 통합 단말 보안 플랫폼 '지니안 인사이츠 E 3.0' 출시
- 씨이랩, 반도체 디지털 트윈 플랫폼 구축 사업 수주
- CJ CGV, 정부 정책에도 수요회복 안 보여…목표가↓-삼성
- 300만 외국인 노동자를 위한 금융 혁신, '은행에서 앱으로'
- 메리츠에 밀린 DB…손보업계 지형 변동
- SC제일銀 순익 급감…이광희 행장 경영 시험대
- K-헬스케어 전성시대? 코스닥 휩쓰는 바이오株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순창 양지천, 황화코스모스·버들마편초 만개…가을 정취 가득
- 2장수군 종합실내체육관, 첫 전국대회 성공적 개최
- 3피앤지바이오메드, 베트남 국영자본투자공사와 MOU 체결
- 4임실군파크골프장, 대한파크골프협회 공인 인증 도전
- 52025 임실 방문의 해, 특별한 치즈축제 '공격적 홍보' 열기 후끈
- 6대구대, 야생동물 전문인력 양성…경북 영덕 산불 지역 생태 교육
- 7경북도교육청정보센터, 하반기 평생교육프로그램 수강생 모집
- 8영남이공대, 2026학년도 학과 및 계열 정원조정 통해 미래인재 양성 박차
- 9대구대 서비스마케팅디자인전공, ‘서비스·경험디자인기사’ 관련학과로 공식 지정
- 10kt cloud, 실무 중심의 육성 프로그램 ‘TECH UP’ 론칭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