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격의 딥시크’…로봇·전기차까지 서비스 확장
경제·산업
입력 2025-02-08 10:50:03
수정 2025-02-08 10:50:03
이혜연 기자
0개
![](/data/sentv/image/2025/02/08/sentv20250208000007.800x.0.jpg)
[서울경제TV=이혜연기자] 한국을 포함해 해외에서 잇달아 접속차단 등 금지 조치를 받는 중국 생성형 인공지능(AI) 딥시크가 PC는 물론 로봇과 전기차까지 서비스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고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가 8일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중국 컴퓨터 제조업체 레노버는 최근 웨이보(중국판 엑스)를 통해 자사 샤오톈 AI 어시스턴트와 딥시크 AI 모델을 통합했다고 밝혔다. 문장 독해와 코드 생성, 수학, 추론 등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서다. 레노버는 지난해 초 출시한 샤오톈 서비스를 태블릿과 스마트폰 등 다른 제품으로도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또 중국 최대 휴머노이드 로봇 제조업체 UB테크는 자사 로봇에서 딥시크 AI 모델을 활용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로봇이 복잡한 현실세계 환경에서 지시를 이해하도록 돕고 공장에서 작업을 수행하는 테스트가 진행되고 있다.
중국 지리자동차는 딥시크의 RI 추론 모델을 자사가 개발한 신루이 AI 모델에 탑재하고 있다. 운전자의 요구를 이해하고 예측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밖에 중국 게임사 넷이즈의 온라인 교육 자회사 유다오와 장쑤헝루이제약도 딥시크 도입에 나섰다.
전문가들은 딥시크의 비용상 이점과 오픈소스라는 접근 방식이 업체들에 새로운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hy2ee@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자 프로필 사진](/data/sentv/upload/save/manager/sentv17288910735343.png)
관련뉴스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박종범 세계한인무역협회장 "4월 안동대회 바이어 1000명 참석"
- 2광주광역시, 882억 투입 ‘라이즈체계’ 본격 가동
- 3뉴욕증시, 인플레·상호관세 우려에 하락…다우 1%↓
- 4트럼프 ‘中딥시크 안보위협이냐’ 질문에 “아니다…좋은 일”
- 5광주시교육청, AI 디지털교과서 일선학교 자율 선택에 맡겨
- 6우재준 의원, 대구 국가물산업클러스터 방문. . .물산업 진흥 방안 및 입주기업 민원 청취
- 7대구광역시학교밖청소년지원센터, 대구보건대학교와 업무협약 체결
- 8김재용 대구시의원, 소프트웨어산업 진흥 위한 제도적 기반 마련한다
- 9아르도르 이지효 대표 “파인이스트 괌 골프페스타, 소통•공유•향유 위한 새로운 문화 창조”
- 10美 트럼프 “완전한 北비핵화·한미일협력 중시”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