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企 51.4%, 환율 급등으로 피해 발생

경제·산업 입력 2025-02-20 14:28:05 수정 2025-02-20 14:31:10 이수빈 기자 0개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환차손 발생’, ‘고환율로 인한 생산비용 증가’ 피해 가장 많아

[사진=중소기업중앙회]
[서울경제TV=이수빈 기자] 중소기업중앙회(중기중앙회)는 지난달 14일부터 31일까지 중소기업 360개 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高환율 관련 중소기업 실태조사' 결과 중소기업의 51.4%가 최근 환율 급등으로 피해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20일 밝혔다.

조사 결과, 수입 중소기업의 지난해 평균 수입액은 56억3000만 원이며, 품목별 수입액 비중은 원자재(59.1%)가 평균 33억3000만 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국내 업체를 통해 간접 수입 중인 중소기업의 지난해 평균 수입액은 19억9000만 원이며, 이 또한 원자재(64.8%) 비중이 12억9000만 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최근 환율 급등으로 ‘피해가 발생’한 중소기업(51.4%)은 ‘이익 발생’ 중소기업(13.3%)을 크게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중 ‘피해가 발생’했다고 응답한 기업의 비중은 수입만 하는 기업(82.8%), 수입과 수출을 모두 하는 기업(62.1%), 수출입을 하지 않는 내수기업(48.4%), 수출만 하는 기업(26.2%) 순으로 높았다.

피해 유형 조사 결과(복수응답), ‘환차손 발생’과 ‘고환율로 인한 생산비용 증가’로 응답한 기업이 각 51.4%로 가장 많았고, △수입 비용 증가로 인한 가격경쟁력 저하(49.2%), △환율상승분에 대한 납품단가 미반영(40.0%) 등이 그 뒤를 이었다.

환율 상승으로 인한 수입 비용 증가분에 대해서는 중소기업의 70.3%가 ‘1억 원 미만’으로 응답했다.

환율 상승 대응을 위해 필요한 정부 지원책으로는 ‘대출만기연장 및 금리인하’가 42.8%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운임 및 선복 등 물류지원 확대(26.7%), △환변동 보험 및 무역 보증 지원(26.1%) 등이 그 뒤를 이었다.

또한, 미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에 따른 환율 전망은 ‘상승’할 것이라는 의견이 66.4%로 가장 높았다. 조사 시점 기준 기업이 영업 적자를 보기 시작하는 ‘손익분기점 환율’은 1달러 기준 평균 1,334.6원으로 응답했으며, 기업의 목표 영업이익 달성을 위한 ‘적정 환율’은 평균 1,304.0원으로 조사됐다.

김철우 중기중앙회 통상정책실장은 “최근 원·달러 환율이 1,400원대 수준에 머물면서 수출입 중소기업의 피해가 늘고 있다”며, “환율안정을 위한 정부의 적극적인 정책 대응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q00006@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공지사항

더보기 +

이 시각 이후 방송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