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어프레미아, '난기류 인식 플랫폼' 도입…"안전운항 강화"

경제·산업 입력 2025-02-24 08:51:50 수정 2025-02-24 08:51:50 고원희 기자 0개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난기류 정보 객관적 수치 수집…해당지역 우회해 안전 확보

[사진=에어프레미아]

[서울경제TV=고원희 인턴기자] 에어프레미아는 오는 3월1일부터 국제항공운송협회(IATA)의 난기류 인식 플랫폼(IATA Turbulence Aware·ITA)을 도입한다고 24일 밝혔다.

해당 플랫폼은 지난해 말 기준 세계 25개 항공사(약 2600여 대)가 이용하고 있으며, 이들 항공기에서 수집한 난기류 정보를 난기류 인식 플랫폼에 전달하면 객관적 수치로 변환해 회원사들에게 공유하는 시스템이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2024년 상반기 항공사들이 만난 난기류는 총 1만4802건으로 5년 전과 비교하면 무려 78%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에어프레미아는 난기류 인식 플랫폼을 도입하면서 기존 예보중심의 대응에서 실시간 대응이 가능해져 운항중 안전항로를 확보할 수 있다. 특히 난기류 예보가 있더라도 실제로 발생하지 않는 경우와 반대로 예보되지 않은 공역의 청천난기류(CAT, Clear Air Turbulence)에도 효과적으로 대응이 가능해 승객 및 승무원의 안전사고를 감소시킬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에어프레미아는 플랫폼 가입 이외에도 비행 전 운항승무원과 객실승무원의 통합브리핑에서 난기류 정보를 사전 공유해 승객 서비스 시점 등을 조절하는 등 안전을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GE 에어로스페이스의 비행 데이터 모니터링 시스템인 ‘세이프티 인사이트’를 도입해 운항중 잠재적인 위험을 식별하고 관리하는 등 안전강화에 힘쓰고 있다.

고윤범 에어프레미아 안전보안실장은 “IATA의 표준화된 프로그램을 도입하며 고객 신뢰도 향상 및 안전 이미지를 제고할 수 있다”며 “승객에게 안전하고 쾌적한 비행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더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시에 싱콴(Xie Xingquan) IATA 북아시아 및 아태지역본부 부사장은 “에어프레미아의 참여를 환영하며, 난기류를 피하거나 영향을 완화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며 “에어프레미아의 항공기에서 수집된 정보 역시 회원사의 안전과 승무원 및 승객의 편안함을 개선하는데 기여할 것”이라고 전했다.
/highlight@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공지사항

더보기 +

이 시각 이후 방송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