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 특허청, ‘2024 특허 지수’ 리포트 발표…"韓 2년 연속 TOP5"
경제·산업
입력 2025-04-01 11:16:19
수정 2025-04-01 11:16:19
유여온 기자
0개
2023년 도입된 ‘유럽 단일 특허 제도’
약 20만 출원 건수 중 한국 비중 6.6%
삼성, 특허 출원 최다로 1위…LG는 3위

[서울경제TV=유여온 인턴기자] 유럽 특허청은 글로벌 기업 및 연구기관들의 유럽 특허 출원 동향과 개요를 담은 연례 리포트 ‘2024 특허 지수’를 1일 발표했다. 리포트에 따르면 지난 해 유럽에 제출된 특허 건수는 총 19만 9264건으로, 2023년의 19만 9452건과 비슷한 수준이며, 최근 3년간의 급격한 증가세 이후 안정화된 모습이다.
한국은 2024년 1만 3107개 특허를 출원하며 유럽 특허 출원 국가 종합 순위에서 2년 연속 5위를 차지했다. 국가별 출원 건수 1위는 미국으로, 독일, 일본, 중국, 한국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한국의 출원 건수는 전년 대비 4.2% 증가하며 출원건수 상위 10개국 중 성장률 1위를 기록했다.
2024년 유럽 특허청에 가장 많은 특허를 출원한 기업은 삼성으로 집계됐다. 삼성은 2020년 이후 4년 만에 1위 자리를 탈환하며 화웨이를 제치고 정상에 올랐다. 이어 3위는 LG가, 4위와 5위는 퀄컴과 RTX가 차지했다. 올해 상위 10개 기업 중 한국 기업은 삼성(1위)과 LG(3위) 두 개이며, 유럽 기업은 4개, 미국 기업 2개, 중국과 일본 기업이 각각 1개씩 포함됐다.
2024년 한 해 동안 1만 6815건이 출원된 ‘컴퓨터 기술’ 분야는 유럽 특허청 사상 처음으로 최다 출원 분야에 올랐다. 기계 학습과 패턴 인식과 같은 AI 관련 기술의 강력한 성장에 힘입은 것이다. 또한 컴퓨터 기술은 한국이 세 번째로 많이 출원한 기술 분야이기도 하다.

‘전기 기계’ 분야 역시 한국이 강세를 보이는 분야다. 한국의 전기 기계 관련 특허 출원 건수는 전년 대비 15.8% 증가하며 2024년 전 세계 1위를 기록했다. 배터리 기술 분야에서도 한국 기업들이 두각을 나타냈다. LG가 1위, 삼성이 3위, SK가 7위를 기록하며 글로벌 특허 경쟁에서 강력한 입지를 보였다.
모바일 네트워크 기술 등을 포괄하는 디지털 통신 분야는 전체적으로 특허 수가 6.3% 감소하며 주춤한 모습을 보였으나, 한국에서는 여전히 두 번째로 중요한 기술 분야로 자리하며 소폭의 성장세를 유지했다.
안토니오 캄피노스 유럽 특허청 회장은 “작년 한 해 정치∙경제적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 ’2024년 특허 지수’에서 드러난 전 세계 기업과 연구기관들의 많은 특허 출원은 기술 경쟁력 확보 및 지속적인 R&D투자에 대한 강한 의지를 보여준다”고 평가했다.
2023년 도입된 ‘유럽 단일 특허 제도’가 빠르게 자리잡으며, 글로벌 혁신 기업들이 EU 18개국에서 보다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특허를 보호받을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고 있다. 특히 EPO 39개 회원국이 전체 신청의 36.5%를 단일 특허로 신청하며 가장 적극적으로 제도를 활용했다.
한국은 18.9%를 기록하며 2023년(9.7%) 대비 두 배 가까이 증가해 빠른 성장세를 보였다. 중국(17.9%), 미국(16.0%), 일본(7.9%)이 뒤를 이었다. 기업별로는 존슨앤드존슨, 지멘스, 삼성, 퀄컴과 볼보 그룹 순으로 가장 많은 단일 특허를 신청했다. /yeo-on0310@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Tag
관련뉴스
- [위클리비즈] 저작권 논란에도…챗GPT가 불러온 ‘지브리 놀이’
- 벼랑 끝 홈플러스…기업회생·검찰 수사 속 ‘대책 실종’
- “키움서 주식 안한다”…키움증권 연이틀 먹통에 ‘부글부글’
- 한숨 돌린 줄 알았는데…트럼프 “의약품도 관세 검토 중”
- [尹파면] 대선 국면 돌입…짙어진 부동산 시장 관망세
- [尹파면] 탄핵에 반색하는 플랫폼...카카오 숨통 트이나
- 필립스옥션, 런던서 '뉴나우 근현대 미술 경매' 개최
- '자본시장법 위반' 김상철 한컴그룹 회장 1심 벌금형
- 소상공인연합회 "헌재 결정 존중…경제 살리기 매진하길"
- 한국AX마케팅협회, ‘코리아 나라장터 엑스포 2025’ 참여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