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버스터 항암제 ‘키트루다’, SC로 시밀러 도전장 ‘방어’
경제·산업
입력 2025-05-03 08:00:07
수정 2025-05-03 08:00:07
이혜란 기자
0개
[서울경제TV=이혜란기자] 세계에서 가장 많이 팔리는 항암제인 미국 머크(MSD)의 '키트루다(성분명 펨브롤리주맙)'가 특허 만료를 앞둔 가운데, 국내외 제약사들의 바이오시밀러(복제약) 개발 경쟁과 원개발사의 제형 변경을 통한 특허 방어 전략이 본격화되고 있다.
키트루다는 2014년 출시 이후 다양한 암종에 대한 적응증을 확보한 항암제로 지난해 294억8200만 달러(약 43조 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올해는 매출 300억 달러를 넘길 것으로 예상되며, 올해 1분기 매출만도 전년 동기 대비 4% 늘어난 72억 달러를 기록했다.
전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팔리는 항암제인 만큼, 키트루다의 특허 만료를 앞두고 글로벌 제약사들의 시밀러 개발 움직임도 빨라지고 있다. 키트루다 물질특허는 미국에서 2029년 11월, 유럽에서는 2031년 1월에 만료될 예정이다.
국내에서는 셀트리온이 키트루다 바이오시밀러 'CT-P51'의 임상 3상 시험계획을 28일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승인받았다. 미국 FDA에서도 임상 3상 시험계획 승인을 받은 바 있으며, 임상 종료 시점은 2028년으로 예상된다.
삼성바이오에피스, 키트루다 바이오시밀러 'SB27'를 개발중이며, 지난해 4월 임삼 3상에 돌입했다. 2027년 완료를 목표로 하고 있다.
이에 맞서 원개발사인 머크는 키트루다의 피하주사제형(SC) 개발을 통해 시장 방어에 나서고 있다. SC 제형은 기존 정맥주사(IV)보다 투여 시간이 짧고 환자 편의성이 높아, 승인 시 기존 환자의 30~40%를 SC 제형으로 전환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특허 기간을 연장하고, 시장 독점 유지와 방어를 목표로 하는 것이다. 머크는 올해 9월 승인을 목표로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SC 제형의 허가를 요청 중이다.
전문가들은 SC 제형이 승인되면 시밀러 제품의 진입 장벽이 높아질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시판까지 걸리는 시간과 비용이 더 들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SC 제형의 승인 여부가 향후 시장 판도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rann@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소비자원, ‘안전인증 없는 온열 마사지기’ 주의 당부
- "패딩도 트렌디하게"…아웃도어 업계, 세분화된 소비자 취향 공략
- 제네시스, ‘GV60 마그마’ 공개…“럭셔리 고성능 10년 플랜 시동”
- 차기 금투협 회장 ‘3파전’…코스피 5000 이끌 적임자는
- 정재헌 SKT 대표, 경영 데뷔전…해킹 배상 거부 ‘논란’
- 내복에 캐시미어 니트까지…편의점, 가성비 앞세워 뷰티·패션 공략
- '1호 IMA' 9부 능선 넘은 한투·미래에셋證…연내 첫 상품 출시
- 중국 車 과잉생산에 출혈 경쟁…전기차 흑자 기업은 4개뿐
- "너무 올랐다" VS "이제 시작"…내년 증시 전망 '천차만별'
- "스트레스 풀러 여행 가자"…항공사 수험생 할인 혜택 '풍성'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청정 갯벌의 선물'…보성군, 제21회 벌교꼬막축제 개막
- 2파라타항공, 24일 밸리카고 첫 운항…탑재율 100%
- 3한–EU, 자유무역 중요성 재확인…철강·디지털 통상 등 현안 논의
- 4우원식 국회의장, 베트남 당 서기장과 회동…“경제 협력 확대 기대”
- 5미국, 엔비디아 ‘H200’의 중국 수출 허용 검토…대중 규제 완화 신호?
- 6일본 정부, 반도체 기업 라피더스에 11조원 추가 지원…"반도체 부활"
- 7HD현대건설기계, 영천시에서 제17호 국가유공자 하우스 리모델링 준공식 개최
- 8신성일기념관 개관식 개최...영천에 새로운 문화 랜드마크 탄생
- 9김천교육지원청, Wee센터 돋움·디딤 프로그램 활동 평가 및 간담회 운영
- 10포항스틸아트페스티벌, ‘빛과 쇠’의 울림…7만 5천여 명 다녀가며 성료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