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웰푸드, 빼빼로 글로벌 앰배서더에 ‘스트레이 키즈’ 발탁
경제·산업
입력 2025-05-12 09:08:06
수정 2025-05-12 09:08:06
유여온 기자
0개
'Show your love with PEPERO' 캠페인 슬로건
지난해 50여개국에서 약 700억원의 수출액 기록
"스트레이키즈와 빼빼로데이를 알리는 데 집중할 것”
[서울경제TV=유여온 인턴기자] 롯데웰푸드는 ‘스트레이 키즈’를 빼빼로 브랜드의 공식 글로벌 앰배서더로 발탁했다고 12일 밝혔다. 파워풀한 음악과 탄탄한 실력, 독창적인 콘셉트로 국내외 K팝 팬들의 팬심을 사로잡은 스트레이 키즈와 함께 빼빼로가 가진 나눔의 가치를 전 세계에 알린다는 계획이다.
롯데웰푸드는 2020년부터 한국의 대표 나눔 기념일인 ‘빼빼로데이’를 세계적인 기념일로 확산하기 위한 통합 글로벌 마케팅 캠페인을 전개하고 있다. 올해는 스트레이 키즈를 필두로 K팝과 한국 문화 소비에 적극적인 글로벌 ‘잘파세대’ 공략에 나선다. 캠페인 슬로건은 작년과 동일한 ‘Show your love with PEPERO(빼빼로로 사랑을 나누세요)’다. 사랑, 우정, 감사 등 다양한 나눔의 마음이 빼빼로를 매개로 더욱 확산되기를 바라는 마음을 담아 2년 연속 같은 메시지를 전한다.
빼빼로는 지난해 해외 50여개국에서 약 700억원의 수출액을 기록하며 성공적으로 글로벌 인지도를 확대하고 있다. 통합 글로벌 마케팅 캠페인을 처음 시행한 2020년과 비교했을 때 140%를 넘어서는 성장세다. 특히 지난해에는 11월 11일 빼빼로데이 당일 뉴욕 타임스 스퀘어의 중심부인 '파더 더피 스퀘어'에 브랜드 체험 공간을 열고, 현지인을 비롯해 세계 각국에서 방문한 관광객에게 한국의 토종 데이 문화를 알리기도 했다.
한편, 빼빼로의 새로운 얼굴이 된 스트레이 키즈는 지난해 12월 발매한 앨범 SKZHOP HIPTAPE '合(HOP)'으로 미국 빌보드 메인 앨범 차트인 ‘빌보드 200’에서 자체 통산 6번째 연속 1위를 기록했다. 또 최근 성황리 전개 중인 전 세계 34개 지역 55회 공연의 자체 최대 규모 월드투어 'dominATE'로 총 220만 관객을 동원하고 단일 투어 기준 'K팝 최다 모객' 신기록을 갱신할 전망이다.
롯데웰푸드 관계자는 “대세 아이돌 스트레이 키즈와 함께 글로벌 문화 소비의 중심인 잘파 세대를 대상으로 빼빼로와 빼빼로데이를 알리는 데 집중할 것”이라며 “새로운 글로벌 앰배서더 스트레이 키즈와 함께 펼쳐 나갈 다양한 캠페인에 많은 관심을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yeo-on0310@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Tag
관련뉴스
- 국제 금값, 온스당 3997달러…미중 불확실성에 조정 국면 지속
-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복구율 92%…행정시스템 대부분 정상화
- 韓中, 통화스와프·FTA·범죄 공조 등 협력 합의…‘실질 협력’ 강화
- 서울시, 한강버스 시민 탑승 운항 재개…첫날 3000여명 이용
- 필리핀 대통령, 한화오션과 잠수함 협력 논의
- 해수부, “후쿠시마 오염수 투명 공개·국제 감시 필요”
- APEC, '지속가능한 내일' 위한 공동성명 타결
- LPG 업계, 11월 공급가 인하…프로판 내리고 부탄은 동결
- 일본 반도체 소재 기업, 한국에 속속 공장 건설…AI 수요 대응 본격화
- G7, 핵심 광물 동맹 출범…중국 공급망 장악에 공동 대응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소재에 혁신"…올겨울 따뜻함 결정하는 '기술' 경쟁 본격화
- 2내주 9639가구 공급…"수도권 대단지 신규 공급"
- 3항공사들 ‘증편 경쟁’에 지연·결항 속출…승객 불만 폭주
- 4AI 확산, 청년 고용에 타격…노출 높은 업종일수록 감소 뚜렷
- 5퇴출 기조 강화되는데…상폐 심사받는 코스닥社 잇따라
- 6'불장'에 나타난 FOMO…개미 빚투 역대 최대 규모
- 7국제 금값, 온스당 3997달러…미중 불확실성에 조정 국면 지속
- 8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복구율 92%…행정시스템 대부분 정상화
- 9韓中, 통화스와프·FTA·범죄 공조 등 협력 합의…‘실질 협력’ 강화
- 10서울시, 한강버스 시민 탑승 운항 재개…첫날 3000여명 이용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