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카드사 연체율 '마의 2%' 돌파…업계 건전성 '빨간불'
금융·증권
입력 2025-05-21 18:49:04
수정 2025-05-21 18:49:04
김도하 기자
0개

[앵커]
국내 카드사들의 연체율이 줄줄이 2%를 넘기며 건전성에 비상이 걸렸습니다. 특히 우리카드는 업계에서 가장 높은 연체율을 기록하면서 카드론 성장의 그늘이 드러났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습니다. 김도하 기자입니다.
[기자]
올해 1분기 말 기준 우리카드의 실질 연체율은 2.62%.
국내 8개 전업 카드사 중 가장 높은 수치입니다.
지난해 말(2.15%)보다 무려 0.47%포인트나 급등한 상황.
같은 기간 하나카드(2.44%)와 BC카드(2.26%), KB국민카드(2.02%) 등 다른 카드사들도 줄줄이 ’마의 2%’를 넘겼습니다. 통상 카드업계에서는 실질 연체율이 2%를 넘을 경우 위험 신호로 감지합니다.
연체율이 오르면서 우리카드의 대손비용도 1300억원까지 증가했습니다.
전체 카드업계의 대손비용은 1조3000억원대로, 1년 전보다 60% 넘게 늘어난 실정입니다.
문제는 이 같은 리스크가 수익 중심의 경영 전략 속에서 드러났다는 점입니다.
진성원 우리카드 대표는 지난해 말 취임 이후부터 독자가맹점 확대와 비용 효율화 전략을 강조해 왔습니다.
그 결과 올해 받은 첫 성적표에서 순이익 330억원, 총자산순이익률(ROA) 0.81%로 수익성 지표는 개선됐습니다.
6개 카드사(삼성·신한·KB국민·현대·하나·우리)의 1분기 순이익(5536억원)이 전년 동기(6550억원) 대비 15% 넘게 쪼그라든 상황에서, 우리카드는 두 자릿수의 가장 높은 순이익 증가율을 기록한 겁니다.
하지만 카드론과 같은 고위험 자산 확대에 따른 기초체력 약화가 결국 연체율 급등으로 이어졌다는 분석입니다.
전문가들은 "카드사가 늘어난 부실자산을 매각하는 등 리스크를 선제적으로 줄이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지적합니다.
오는 7월부터는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DSR 3단계 규제가 시행되면서 카드사들의 대출 심사도 더 까다로워질 전망입니다.
우리카드 역시 디지털 마케팅과 가맹점 확대 전략 못지않게 기초 건전성 회복에 대한 전략적 보완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서울경제TV 김도하입니다. /itsdoha.kim@sedaily.com
[영상편집 김양희]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Tag

관련뉴스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안산시,폭염 경보 격상 '총력 대응' 나섰다
- 2기장군장애인태권도협회, 개소식·현판식 개최
- 3오수환 순창군의원, '지방의정봉사상' 수상
- 4장수군, 고품질 사과 생산 위한 '과수원 현장행정'
- 5순창군, 간장의 항치매·혈당 개선 효과 세계에 알려
- 6임실N치즈와 영동와인의 끈끈한 '찰떡 우애'…정영철 영동군수 임실방문
- 7권기창 시장, 시민과 함께 걸어온 3년. . ."미래 100년 준비할 것"
- 8남원시, 상반기 노인복지 사업 활발…노인복지 선도모델 '우뚝'
- 9제9대 후반기 남원시의회 출범 1년, 시민 안전·지역경제 회복 집중
- 10고창군, 임시 공용터미널 7일 운영 시작...“2027년 신축 터미널 기대감 상승”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