힘 받는 한국GM 철수설…“韓 자산 팔고 美선 투자 확대”
경제·산업
입력 2025-05-30 18:33:16
수정 2025-05-30 18:33:16
진민현 기자
0개
[앵커]
철수설을 부인하고 있는 한국GM이 국내 직영서비스 센터 9곳과 부평2공장 등 일부 자산에 대한 매각을 추진합니다. 공교롭게도 미국에선 1조2000억원 규모의 신규 투자계획을 내놓으며 철수설에 힘이 실리는 모습인데요. 3년 뒤면 GM이 우리정부와 약속한 국내 공장 유지 의무도 사라지게 돼 철수설은 당분간 계속될 전망입니다. 진민현 기잡니다.
[기자]
제너럴모터스(GM)가 국내 9개 직영 서비스센터와 인천 부평공장의 일부 설비와 토지를 매각합니다. GM은 한국사업장(한국GM)의 부평공장과 창원공장 등에서 연간 자동차 50만대 안팎을 생산해 일부만 국내에 판매하고 90% 가량은 미국 등 북미 지역에 수출해 왔습니다.
그런데 지난달부터 트럼프 행정부가 모든 수입차에 25% 관세를 매기면서 핵심 사업에 제동이 걸리게 되자, 한국에서 사업 일부를 축소하기 시작한 것으로 분석됩니다.
한국GM의 철수설 배경입니다.
GM은 국내 자산매각을 발표한 날 미국에선 신규 투자계획을 공개했습니다.
뉴욕주 토나완다 엔진 공장에서 8억8800만달러(약 1조2000억원)를 투자해 차세대 엔진을 만들겠다는 겁니다. GM의 엔진 공장 단일 투자 중 최대 규몹니다.
미국 수출 비중이 압도적으로 많은 GM의 ‘한국 철수설’에 힘이 실리고 있습니다.
다만 한국GM은 직영 서비스 센터가 매각된 이후에도 협력 정비센터를 통해 고객 지원 서비스가 지속된다는 점 등을 들며 생산 감축이나 철수설에는 선을 그었습니다.
한국GM은 올해 수출세가 꺾이면서 위기감이 커지고 있는 상황.
올해 한국GM은 1~4월 수출량이 14만8728대로 작년 동기 대비 8% 줄었습니다. 올해 4월부터 트럼프발 25% 관세가 붙은 데다, 수출 차종인 소형 SUV 트랙스 크로스오버와 트레일블레이저가 모델 노후화 등의 이유로 현지 판매가 감소했기 때문입니다.
한편 GM은 지난 2018년 군산공장 폐쇄 이후 우리 정부와 협상을 통해 10년간 국내 공장을 유지하기로 합의한 바 있습니다.
3년 뒤인 2028년이면 계약이 종료돼 국내 사업 유지 의무가 없어지는 만큼 한국GM 철수설은 당분간 계속될 전망입니다.
서울경제TV 진민현입니다. /jinmh09@sedaily.com
[영상편집 이한얼]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한국타이어, 따뜻한 겨울나기 ‘김장 대봉사’ 참여
- 종근당홀딩스, 2025 메세나대상 ‘문화공헌상’ 수상
- 재택 근무 확산에 ‘공간 분리형 주거’ 급부상…화성 ‘더 스테이 새솔’ 관심
- 에이비엘바이오, 릴리에 ‘그랩바디’ 기술이전…최대 3.8조원 규모
- 대한항공, 진에어·에어부산과 日 주요 여행사 대상 ‘부산 팸투어’ 진행
- 쓰레스홀드 네트워크, tBTC 앱 대규모 업그레이드 공개
- 쿠팡, 가전디지털 할인전 ‘쿠가세’ 성료
- '환경 오염' 논란 영풍 석포제련소 화재 발생…안전·환경 논란 커지나
- 크래프톤, '자발적 퇴사선택 프로그램' 시행…전 직원 대상
- 엔씨소프트 ‘아이온2’, 오는 16일부터 사전 다운로드 진행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한국타이어, 따뜻한 겨울나기 ‘김장 대봉사’ 참여
- 2AI 중심도시 해남군, 공직자 역량 강화 'A.C.E 미래 양성교육' 진행
- 3종근당홀딩스, 2025 메세나대상 ‘문화공헌상’ 수상
- 4재택 근무 확산에 ‘공간 분리형 주거’ 급부상…화성 ‘더 스테이 새솔’ 관심
- 5에이비엘바이오, 릴리에 ‘그랩바디’ 기술이전…최대 3.8조원 규모
- 6대한항공, 진에어·에어부산과 日 주요 여행사 대상 ‘부산 팸투어’ 진행
- 7김철우 보성군수 "군민 모두가 건강한 지역 공동체로 성장"
- 8쓰레스홀드 네트워크, tBTC 앱 대규모 업그레이드 공개
- 9쿠팡, 가전디지털 할인전 ‘쿠가세’ 성료
- 10고흥군, 하반기 공직자 회계실무 교육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