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정부 출범후 '자사주 소각' 급증…전년비 2.6배 ↑
경제·산업
입력 2025-08-17 09:03:31
수정 2025-08-17 09:03:31
김혜영 기자
0개

17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제21대 대통령 선거가 치러진 6월 3일 이후 이달 14일까지 코스피·코스닥 상장사가 공시한 주식소각결정 건수는 총 45건으로 전년 동기(30건)보다 50% 늘었다.
소각되는 주식의 수와 소각예정금액은 1억4527만주와 5조8379억원으로 전년도 같은 기간(476만주, 2조2122억원)보다 각각 256%와 164% 증가했다. 소각예정금액만 보면 불과 한 해 전의 2.6배가 넘는 수준이다.
기취득한 자사주를 소각한 사례가 45건 중 30건으로 다수였다. 그러나 장내매수나 장외매수, 신탁계약을 통한 자기주식 취득 등 방식으로 주식을 사들여 소각하는 경우는 15건을 기록했고, 소각예정금액은 오히려 4조5839억원으로 전체의 78.5%를 차지했다.
개별 기업별로는 HMM(8180만주·2조1432억원)의 주식 소각 규모가 가장 컸다. 이어 신한지주(1154만주·8000억원), KB금융(572만주·6600억원), NAVER(158만주·3684억원), 기아(388만주·3452억원), 현대모비스107만주·3172억원) 등 순이었다.
주식소각결정을 공시한 기업들은 대부분 '주주가치 제고 및 주주환원정책 확대'가 목적이라고 설명했다.
일반적으로 자사주를 매입해 소각하면 전체 주식 수가 줄면서 주가가 상승하는 효과가 있다. 국내에서는 회사가 자사주를 매입한 뒤 소각하지 않고 지배주주의 경영권 방어 수단 등으로 활용하는 사례가 문제로 거론돼 왔다. 이에 새 정부가 소액주주 권익 보호 강화 정책 기조를 천명하고 정치권에서는 최근 상법 개정을 통한 자사주 소각 의무화 논의가 본격화한 영향 속 선제족 조치로 풀이된다. /hyk@sea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한경협국제경영원, '2025 AI 비즈니스 과정' 개강…기술 넘어 전략으로
- LG 시스템에어컨, 플라스틱 사용 줄여 탄소 배출 줄인다
- 일요일 '낮 최고 35도' 전국 대부분 폭염특보
- '월세' 거래, 첫 100만건 돌파…'전세의 월세화' 가속
- LG유플러스, 방송중계·IPTV, ISO 22301 국제인증 획득
- 삼성전자, '아시아 공조 콘퍼런스'서 글로벌 HVAC 공략
- SK, 이천포럼 내일 개막…'본원적 경쟁력 강화' 모색
- "쉽게 AI 접하고 배운다"…SKT, ‘AI 놀이터’ 마련
- 에쓰오일, 인천저유소 공정안전관리 최고등급 'P등급' 획득
- '동일노동 동일임금' 법제화…내년 하반기 시행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달성군, ‘영어 썸머 페스티벌’ 대성황
- 2경북도, 제80주년 광복절 경축식 개최
- 3의성군, 제80주년 광복절 참배행사 개최
- 4대구시, 제80주년 광복절 맞아 뜻깊은 경축행사 개최
- 5한경협국제경영원, '2025 AI 비즈니스 과정' 개강…기술 넘어 전략으로
- 6LG 시스템에어컨, 플라스틱 사용 줄여 탄소 배출 줄인다
- 7일요일 '낮 최고 35도' 전국 대부분 폭염특보
- 8'월세' 거래, 첫 100만건 돌파…'전세의 월세화' 가속
- 9LG유플러스, 방송중계·IPTV, ISO 22301 국제인증 획득
- 10삼성전자, '아시아 공조 콘퍼런스'서 글로벌 HVAC 공략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