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지분 탐내는 美 정부..."정상회담 앞두고 압박"해석도
경제·산업
입력 2025-08-21 14:14:20
수정 2025-08-21 14:52:41
김혜영 기자
0개

[앵커]
미국 정부가 자국에 투자한 반도체 기업들에게 보조금을 지급하는 대신 지분을 요구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는 관측이 나왔습니다. 트럼프 정부의 불확실성이 어느 수준까지 갈 지 아무도 예측할 수 없다는 비판이 잇따르고 있는데요. 이 같은 방안이 현실화 된다면 미국 정부가 우리 기업의 의결권이나 경영권 등에 간섭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옵니다. 김혜영 기잡니다.
[기자]
미국 정부가 반도체 공장을 지을 때 보조금을 주는 대신, 해당 기업들로부터 주식을 받겠다는 구상을 하고 있다는 외신보도가 나왔습니다.
로이터 통신은 보조금 담당인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이 이 구상을 주도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실제 미국 정부는 자국 반도체 기업인 인텔에 보조금 15조 원을 주고 지분 10%를 받는 안을 논의하고 있습니다.
이를 삼성전자, TSMC 등 다른 기업들에게도 적용하겠다는 겁니다.
삼성은 2030년까지 미국에 53조 원을 투자하기로 했고, 미국은 47억 달러(6조6000억)의 보조금을 약속한 바 있습니다.
미국 정부의 구상이 현실화된다면 기업으로서는 지분을 내줄지, 보조금을 포기할지 선택해야 하는 상황.
약속한 보조금을 주지 않거나 덜 주겠다는 의도가 깔려있다는 분석이 나오는 이윱니다.
반도체 보조금은 전임 바이든 정부 때의 계약으로 트럼프 행정부는 출범 전부터 이에 대한 부정적인 입장을 비쳐왔습니다.
관세 후속 협상을 압두고 한국을 압박하기 위한 수단이라는 평가도 나옵니다.
오는 25일 한미 정상회담이 열릴 예정인 가운데, 협상을 유리하게 끌어가기 위한 포석이란 분석이 나옵니다.
한국 기업들로부터 추가 투자안 등 유리한 협상 결과를 이끌어내기 위한 수순이라는 겁니다.
일부에선 “트럼프 정부의 불확실성이 어느 수준까지 갈 지 아무도 예측할 수 없다”며 “향후 상황을 예의 주시해야 한다”고 진단하기도 했습니다.
한편, 우리 정부는 미국의 삼성전자의 지분을 요구한다는 외신 보도와 관련해 ‘사실무근’이라는 입장을 내놨습니다.
서울경제TV 김혜영입니다. hyk@seadaily.com
[영상편집 유연서]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AI 인프라 확장 본격화…포항 ‘펜타시티 대방 엘리움’ 관심
- 고려아연, 경영학자 선정 '혁신경영대상' 수상
- 더마코스메틱 브랜드 '더셀랩', 폴란드서 50만달러 계약
- 동반위-남부발전, 협력사 맞춤형 ESG 지원
- 중진공, 중소제조업 현장서 AI전환 해법 전파
- 중기부, 中企 정책 현장투어…지원사업 전달체계 혁신
- 한국마사회, '2025 대국민 공정경마 공모전' 개최
- 한국마사회, 2025 가을 야간축제 ‘별밤馬중 페스티벌’ 개최
- 한미정상회담 D-4, 경제사절단 15명 윤곽…반도체·조선·원전 총집결
- 리조이스 스튜디오, K컬처 팬미팅·기업 홍보 등 다목적 공간 지원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AI 인프라 확장 본격화…포항 ‘펜타시티 대방 엘리움’ 관심
- 2청정 바다 완도군, 대한민국 첫 국립해양수산박물관 들어선다
- 3고려아연, 경영학자 선정 '혁신경영대상' 수상
- 4더마코스메틱 브랜드 '더셀랩', 폴란드서 50만달러 계약
- 5"주민 안전 최우선"…기장군, 2025 을지연습 연계 주민대피 시범훈련
- 6순천 레미콘 공장 질식 사고…근로자 3명 쓰러져
- 7케이쓰리아이 "생성형 AI 기반 자체 솔루션 고도화"
- 8동반위-남부발전, 협력사 맞춤형 ESG 지원
- 9중진공, 중소제조업 현장서 AI전환 해법 전파
- 10포커스에이아이-온스테이션, '전기차 화재 예방' MOU 체결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