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해외부동산 강타…증권가 ‘긴장’
코로나19 해외부동산 충격…증권사 ‘전전긍긍’
영업 중단·매장 폐쇄…美 리츠 배당 중단·주가 폭락
국내 해외부동산 투자펀드 설정액 55조 달해
코로나19 확산…부동산 투자한 증권사 손실 우려

[앵커]
코로나19 여파가 금융과 부동산 등 세계 경제를 뒤흔들고 있습니다. 해외 부동산시장의 침체 여파 속 국내 증권사들의 고민도 깊어지고 있습니다. 수년간 해외부동산 투자에 열을 올린 만큼, 피해도 만만찮을 것으로 보입니다. 김혜영 기자입니다.
[기자]
코로나19에 해외 부동산 시장이 직격탄을 맞았습니다.
지난 수년간 해외 부동산 투자에 자금을 쏟아부은 국내 증권사들도 비상입니다.
[인터뷰] 김형근/NH투자증권 연구원
“지금 가장 영향을 많이 받는 자산 중 하나는 호텔이고, 두번째는 리테일(상가)입니다. 미국은 임차인이 사실상 임대료를 못 내겠다고 해서 임대료 파업을 진행 중에 있어서 (임대 수익 등에) 굉장히 직격탄을 맞고 있거든요. 증권사에서 실물자산을 사서 셀다운(재매각)할 때도 잘 안될 가능성이 높죠. ”
코로나19 사태에 각국 정부는 대면 접촉을 줄이기 위해 영업중단과 매장 폐쇄 등을 권고하고 있습니다.
사업체, 점포 등이 휴점에 들어가면서 부동산 시장이 휘청이자, 미국 부동산투자회사 (리츠)들은 배당 중단과 주가 급락을 겪고 있습니다.
미국의 호텔·리조트 리츠인 ‘파크 호텔&리조트’ 주가는 70%, 미국 최대 리테일 리츠인 사이먼 프로퍼티 그룹의 주가 역시 60% 넘게 빠졌습니다.
이와 함께, 미국 13개 호텔 리츠와 세계 최대 호텔 체인인 메리어트 인터내셔널은 배당 중단 또는 배당금 삭감을 발표했습니다.
국내의 해외부동산 투자펀드 설정액은 3월 말 54조7,935억원에 달합니다.
국내 증권사들의 해외부동산 투자 위험 노출(익스포저) 금액도 2017년 말 약 2조7,000억원에서 작년 6월 말 현재 약 8조원으로 급증했습니다.
미국과 유럽이 코로나19의 최대 확산 지역이 되면서 현지 부동산에 집중투자한 증권사와 관련 해외부동산 펀드들의 손실 가능성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증권사들이 해외 부동산을 총액인수 한 후 기관투자자에게 재매각(셀다운) 하는 관행에도 제동이 걸릴 것으로 보입니다. /서울경제TV 김혜영입니다. jjss1234567@naver.com
[영상편집 강현규 ]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대표이사부터 바꾸는 코스닥 M&A…자금조달 차질에 '혼선'
- 코스피 공매도 잔고 9조 돌파…3개월 새 2배 급증
- 금융위, 자본규제 개선…"주담대 죄고 벤처투자 문 푼다"
- 민생 쿠폰 수수료 인하 협의 결렬…카드사 "역마진 우려"
- 정부, 모바일 신분증 발급 민간앱 확대…4개 은행 추가 선정
- 8월 vs 10월 금리 인하 시점은?…가계부채·집값·관세 변수
- 카드·저축銀·온투·대부업까지…2금융권 가계대출 '절반 감축' 비상
- JP모건 "지배구조 개혁 땐 코스피 5000 간다"…투자의견 '비중확대'
- 비트코인, 11만8000달러 넘긴 뒤 숨고르기
- 엔비디아, 주가 4일째 상승 마감…시총 4조 달러 돌파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의대생 1년 반 만에 복귀…의사·교수단체 "존중과 지원 필요"
- 2대표이사부터 바꾸는 코스닥 M&A…자금조달 차질에 '혼선'
- 3코스피 공매도 잔고 9조 돌파…3개월 새 2배 급증
- 4수성구 파동 지역사회보장협의체-한국마사회 대구지사, 지역 주민 복지 증진 위한 업무협약
- 5김한종 장성군수, 11개 읍·면 순회 '이장과의 소통 간담회' 진행
- 6장성군, 민생회복 소비쿠폰 사칭 '스미싱' 경고
- 7영덕군-박형수 국회의원, 2026년 국비 확보 정책협의
- 8대구 중구, 공공디자인 진흥계획 수립 착수…도심 경관 새 단장 나선다
- 9대구상수도사업본부, 달서구 일부지역 흐린 물 출수 예상
- 10대구교통공사, ‘2025년 노사문화 우수기업’ 선정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