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위, 자본규제 개선…"주담대 죄고 벤처투자 문 푼다"
금융·증권
입력 2025-07-13 11:45:46
수정 2025-07-13 11:45:46
이지영 기자
0개

주담대 위험가중치 하한(현재 15%)을 상향해 부동산 대출 공급을 줄이는 한편, 인공지능(AI) 등에 투자하는 정책 펀드에는 더 많은 자금이 집행될 수 있도록 특례 조항(위험가중치 400%→100%)을 명확히 하는 방향이다.
13일 금융당국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위는 금융사 자본 규제 개선을 위해 TF를 꾸려 논의 중이다.
부동산 시장이 불안하면 주담대 위험가중치 하한을 현재 15%에서 더 높이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위험가중치는 대출 회수 가능성에 따라 정하는 비율로, 이 수치가 높을수록 은행은 자기자본비율을 유지하기 어려워진다.
주담대는 안정적인 대출로 분류돼 그동안 낮은 위험가중치를 적용받았다. 이 때문에 은행들이 기업대출보다 주담대에 집중한다는 지적이 있었다. 만약 위험가중치 하한을 25%로 올리면, 은행들은 자본비율을 맞추기 위해 주담대 규모를 줄여야 할 가능성이 크다.
금융위는 주담대 규제 조정과 함께, 정책 펀드나 벤처투자 등으로 자금을 유도하는 방안도 함께 추진하고 있다.
이와 관련해 '정책 펀드 출자 특례' 가이드라인을 손보고 있다.
보통 은행이 펀드에 투자하면 위험가중치 400%가 적용되지만, 정부 자금이 일정 수준 들어간 경우 100%로 낮출 수 있는 특례가 있다.
금융위는 이 특례의 적용 기준을 명확히 정리할 계획이다.
이 방안은 이재명 정부의 핵심 공약인 '100조원 펀드' 재원을 늘리기 위한 목적도 있다.
정부는 AI, 바이오, 에너지 등 첨단산업을 키우기 위해 100조원 규모 펀드를 만들 계획이다.
이를 위해 50조원 규모의 첨단산업기금을 모펀드로 두고, 민간 자금과 국민 투자로 자펀드를 조성하는 구조를 구상 중이다.
이밖에 민간 벤처투자 활성화를 위해 장기 투자와 단기 투자를 구분해 따로 분류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업계에서는 벤처캐피탈이 중장기 전략 투자에도 불구하고, 투기 자금과 똑같이 위험가중치 400%를 적용받는 점을 문제로 지적해왔다.
하지만 자금을 생산적 분야로 유도하려는 정책적 목적 때문에 은행 건전성 규제를 완화하는 데는 신중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특히 이번 논의를 진행 중인 TF에 금융감독원이 빠져 있어, 향후 조율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easy@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한패스, 코스닥 상장예비심사 신청…IPO 시동 본격화
- 뱅크샐러드, 고객 대상 금융 피해 보상 위한 '해킹 피해 보증서' 제공
- CJ, 올리브영 매출 성장 기대…목표가↑-대신
- "휴머노이드 로봇 성장기…아이텍, 반도체 칩 테스트 SW 설계력 주목"
- 산은 새 리더십에…KDB생명 정상화 속도 낼까
- 하나금융 "주주환원율 높여라"…하반기 경영환경 변수
- 돌아온 반도체…외국인 폭풍매수에 코스피도 '훨훨'
- 셀피글로벌 "주총서 가중결의 요건 불충족…해임안 미결의"
- 이화전기 M&A 나선 코아스, '냉각기간'에 발목 잡히나
- 대성파인텍 "9.81파크 제주, 개장 이후 최대 월간 판매액 달성"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계명대, 지역 기업과 손잡고 청년 직주락빌리지 프로그램 본격 추진
- 2대구청소년문화의집 꼼지락발전소, 디지털역량강화 4분기 프로그램 참가자 모집
- 3드리미, 독일에 자동차 공장 설립 검토…글로벌 전기차 시장 본격 진출
- 4HD현대, 선박 건조에 '스타링크' 활용한다
- 5영남대 신소재공학부 교수 3명, ‘세계 상위 2% 연구자’ 선정
- 6경북동해안지질공원,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공동체로 인증
- 7영덕군, 2025년 9월 정기분 환경개선부담금 부과
- 8영덕군 지품면 노인회, 노인의 날 맞아 산불 피해 주민 위안잔치
- 9영덕문화관광재단, '꿈의 오케스트라' 예비거점기관 선정
- 10테일러메이드 어패럴, 윤이나 프로와 함께한 2025 가을 화보 공개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