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홍콩보안법 대중국 강력대응 시사…2차 무역분쟁 오나

[서울경제TV=서청석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6일(현지시간) 중국의 홍콩 국가보안법(홍콩보안법) 제정을 둘러싼 갈등과 관련해 이번 주중 어떤 조치가 있을 것이라고 중국을 압박했다.
중국이 미국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오는 28일 홍콩 보안법 제정을 밀어붙이고 있는 가운데 제재 고려 등 경고장을 날리고 있는 미국이 구체적인 조치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코로나19 확산 책임을 두고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는 양국이 홍콩 보안법을 둘러싸고 한층 더 격한 갈등 국면으로 갈 양상을 보이며 2차 무역분쟁에 대한 우려도 나오고 있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에서 기자회견을 결고 중국에 대한 미국의 제재 가능성을 묻는 질문에 "우리는 지금 뭔가를 하고 있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여러분은 이를 매우 흥미롭게 볼 것이라고 생각한다"면서 "나는 앞으로 며칠 간 이에 대해 얘기할 것이다. 그러나 오늘은 말하지 않을 것"이라고 구체적인 언급은 피했다.
제재를 포함하는 것이냐는 질문에는 "아니다. 이는 여러분이 이번 주가 끝나기 전에 듣게 될 어떤 것"이라며 "내 생각에 아주 강력하게…"라고 말했다.
미국은 중국 전국민인대표대회(전인대)가 홍콩 의회를 건너뛰고 오는 28일 직접 홍콩보안법 제정을 추진하자 홍콩의 자치권과 인권 보장을 훼손하는 일이라고 반대하며 강력 대응하겠다는 입장을 밝혀왔다.
트럼프 대통령의 이날 언급은 그동안 경고 내지 엄포 수준이던 대 중국 제재 내지 보복 조치가 현실화할 수 있다는 뜻이어서 중국과 갈등 고조가 우려된다.
미국의 취할수 있는 조치로는 1992년 미국이 제정한 홍콩정책법에 따라 홍콩에 중국 본토와는 다른 특별한 지위를 인정해 부여한 관세 등 혜택에 손을 보는 방안이 거론된다.
미국은 지난해 제정한 홍콩인권법에 의거해 홍콩의 자치권이 일정 수준에 미달한다고 판단할 경우 불이익을 가하거나 특별지위를 박탈할 수 있지만, 이 평가를 담당한 국무부의 평가 보고서는 아직 나오지 않은 상황이다.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이 홍콩보안법에 대해 "홍콩 자치권에 대한 종말의 전조"라고 언급하는 등 연일 비난의 목소리를 내온 점에 비춰 특단의 조치가 이뤄질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블룸버그통신은 미 재무부가 홍콩을 탄압하려고 시도하는 중국 관리와 기업, 금융기관에 대한 광범위한 제재를 검토하고 있다며 중국 관리과 기업의 거래를 통제하고 자산을 동결할 수 있다고 보도했다. /blue@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무안군, 문형배 전 헌법재판소장 초청 청렴 특강
- 경기 의정부 캠프 라과디아, "평화·통일 거점으로 재탄생"
- 김성제 의왕시장 '이주노동자 맞춰 모국어 안전수칙 배포'
- 대구광역시, 2025년 대구 스타기업 13社 선정…지역경제 선도할 새 주역 발굴
- 정연욱 의원 “언론개혁으로 포장된 ‘언론때리기’ 입법 즉각 중단하라”
- 인천 옹진군 마라톤, “지역경제 활성화보다 비용 부담이 먼저?”
- 김승수 의원 "TK신공항 재원 확보 지체없이 추진해야"
- 경주시, 제52회 신라문화제 준비상황 보고회 개최
- 포항시, 철강산업 위기 극복 위한 지원방안 연구 용역 착수
- 부산도시공사, 우2동 孝경로잔치 행사 후원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무안군, 문형배 전 헌법재판소장 초청 청렴 특강
- 2경기 의정부 캠프 라과디아, "평화·통일 거점으로 재탄생"
- 3김성제 의왕시장 '이주노동자 맞춰 모국어 안전수칙 배포'
- 4“에이전틱 AI 시대 본격화”…삼성, AI로 새로운 가능성 연다
- 5오너 3세 합류에도…1조 자기자본 힘겨운 LS증권
- 6코인원, 가상자산 대여 서비스 '코인 빌리기' 출시
- 7'GA 5위' 굿리치 매물로…보험사 GA 확장 경쟁 불붙나
- 8NC AI, 자체개발 LLM 기술력 인정…독자생존은 과제
- 9은행권, 가계대출 문턱 높여…속도조절론 부응
- 10빗썸, 모바일신분증 민간앱 인증 확대 적용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