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가 부담 vs 정부 눈치'…식품업계, 샌드위치 신세
![](/data/sentv/image/news/2023/03/27/1679908181.png)
[앵커]
물가 상승에 식품기업들이 샌드위치 신세에 놓였습니다. 원가 부담이 커져 가격을 올려야하지만, 정부와 여론 눈치에 결정이 쉽지 않은 상황인데요.
정부의 가격인상 자제 요청에 따르고 있지만, 하반기부터는 버티기 어렵다는 말도 나옵니다. 서지은 기자입니다.
[기자]
먹거리 부담이 좀처럼 가시지 않고 있습니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달 외식물가지수는 지난해 동월보다 7.5% 올랐습니다.
외식물가지수는 지난해 9월 이후 상승 폭은 줄었지만, 햄버거와 치킨 등 외식 가격이 줄줄이 올라 상승률 둔화가 지속될지는 장담할 수 없는 상황입니다.
버거킹, 맘스터치, 미스터피자 등 패스트푸드 업계는 지난달과 이번달 가격 인상 결정했고, 최근 교촌치킨도 주요 메뉴 가격을 최대 3,000원 인상한다고 밝혔습니다.
교촌은 가격 상승 결정 이유로 누적된 원가 부담을 꼽았습니다. 지난해 교촌치킨의 매출액에서 원가 비율은 약 86%까지 치솟았습니다.
교촌 관계자는 “인건비부터 원자재 값까지 오르면서 운영비용 부담이 커졌고, 이런 부분이 수년 간 누적돼 왔다”고 말했습니다.
앞서 교촌치킨은 2021년 주요 메뉴에 대해 최대 2,000원의 가격 인상을 단행했지만, 지난해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10분의 1 급감했습니다.
이번 교촌치킨의 가격 조정은 프랜차이즈 치킨업계 가격 인상 신호탄이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앞서 2021년 11월 교촌이 가격을 올린 뒤 BHC가 한 달 만인 12월, BBQ는 6개월 뒤인 지난해 5월에 가격을 올린 바 있습니다.
[인터뷰] 서용구 / 숙명여자대학교 경영학과 교수
“한 번 인상한 후 3개월에서 6개월 내로는 (가격 인상을) 못 하지만 지금 경제 불확실성도 높고 그러니깐 올해 안에 또 인상하지 않을 거라고 얘기할 수 없는…”
한편, 지난달 하이트진로는 음식점·술집 등에서 판매되는 수입주류 출고가를 평균 15.9% 올렸고, 하이네켄코리아도 업장용 일부 제품 가격을 인상한 바 있습니다.
한 식품업계 관계자는 “고통분담 차원에서 업계가 가격 인상을 자제하고 있지만, 하반기엔 버틸 수 있을지 모르겠다”고 말했습니다.
서울경제TV 서지은입니다. /writer@sedaily.com
[영상편집 유연서]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이재현 CJ그룹 회장 "모바일 신사업에 역량 집중"
- 한화정밀기계, '한화세미텍'으로 사명 변경…김동선 합류
- 철강부터 ‘트럼프 보편관세’ 시작되나…韓 ‘사정권’
- 매출 목표 크게 줄인 건설사…"사업 리스크 관리 최우선"
- LG엔솔, 바다서 돌파구…“국내 최대 풍력단지 운영”
- [이슈플러스] “개발 효율·개인화 경험”…게임업계 AI 패권 경쟁
- 제주항공, 지난해 영업익 799억 원…전년比 52.9% 감소
- ‘테무’도 韓시장 직진출…C커머스와 경쟁 본격화
- 아시아나항공, 지난해 영업익 622억원…전년比 84.5% 감소
- 한화에어로, 지난해 영업익 1조 7247억원…전년比 190% 증가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이재현 CJ그룹 회장 "모바일 신사업에 역량 집중"
- 2한화정밀기계, '한화세미텍'으로 사명 변경…김동선 합류
- 3철강부터 ‘트럼프 보편관세’ 시작되나…韓 ‘사정권’
- 4매출 목표 크게 줄인 건설사…"사업 리스크 관리 최우선"
- 5삼성·미래에셋운용 수수료 인하 경쟁..KB도 "더 내린다"
- 6LG엔솔, 바다서 돌파구…“국내 최대 풍력단지 운영”
- 7희비 엇갈린 지방금융그룹 실적…밸류업 속도는 높인다
- 8신한 제친 삼성카드...카드업계 '지각변동'
- 9“개발 효율·개인화 경험”…게임업계 AI 패권 경쟁
- 10박준희 아이넷방송그룹 회장, '한국방송통신대 발전후원의 밤' 후원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