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반도체 특허 출원 급증… \"4차 산업혁명 성장동력 확보해야\"
경제·산업
입력 2018-03-15 12:44:08
수정 2018-03-15 12:44:08
정창신 기자
0개
구글 알파고에 사용되는 기계학습용 반도체 비중 커
“4차 산업혁명 선도 위해선 더 많은 특허 선점해야”
4차 산업혁명의 핵심 기술 중 하나인 인공지능(AI) 반도체 특허 출원이 급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5일 특허청에 따르면 지난 2015년 77건에 머물던 AI 반도체에 관한 특허 출원이 2017년에는 391건으로 5배 넘게 증가했다. 특히 기계학습용 비메모리 반도체와 뉴로모픽(Neuromorphic)용 비메모리 반도체 특허 출원의 증가세가 두드러졌다.
기계학습용 비메모리 반도체의 경우 기계학습용 알고리즘 구동에 고성능·고용량의 반도체가 필요하기 때문이고, 뉴로모픽용 비메모리 반도체의 경우에는 하드웨어적으로 사람의 뇌 신경을 모방한 차세대 AI 반도체 구조로써 최근 업계의 높은 관심과 활발한 연구 활동 때문으로 풀이된다.
출원인 국적별로 살펴보면 우리나라가 590건(71.3%), 미국이 182건(22.0%)으로 두 나라의 출원인이 90%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일본(17건, 2.1%), 프랑스(9건, 1.1%) 등이 그 뒤를 이었다. 주요 출원인으로는 삼성전자가 199건(24.0%)으로 최다 출원인에 이름을 올렸으며 퀄컴(59건, 7.1%), ETRI(36건, 4.3%), KAIST(23건, 2.8%) 등이 뒤 따랐다.
특허청 분석 결과에 따르면 최근 15년(2003~2017년)간 AI 반도체 분야에서 특허 출원된 828건 중에서 AI 비메모리 반도체에 관한 특허 출원이 650건으로 79%를 차지했으며 AI 메모리 반도체에 관한 특허 출원은 178건으로 21%를 차지했다. 4차 산업혁명의 도래로 다양한 AI 기술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당분간 비메모리 반도체의 우위가 유지될 것으로 전망된다.
세부 기술 분야 별로 살펴보면 AI 비메모리 반도체 중에서도 구글 알파고의 딥러닝과 같은 기계학습에 사용되는 기계학습용 비메모리 반도체의 특허 출원이 348건(42%)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차세대 AI 프로세서로 주목을 받고 있는 뉴로모픽용 비메모리 반도체의 특허 출원은 58건(7%)으로 비중은 작았지만 최근 3년 간 가장 큰 폭의 증가세를 보인 유망 기술로 분석됐다.
제승호 특허청 반도체심사과 과장은 “우리나라가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하는 AI 반도체 강국으로 거듭나기 위해서는 세계 최고 수준의 반도체 기술과 더불어 다양한 AI 기능에 대한 균형 있는 투자와 연구개발을 통해 더 많은 지식재산권을 선점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정창신기자 csjung@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Tag

관련뉴스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영천시, 445억 규모 노후 상수관망 정비사업 본격 추진
- 2포항시, 민생회복 소비쿠폰 본격 지급…민생경제회복 총력
- 3포항시, 집중호우 대비 긴급대책회의 개최…시민 안전에 총력
- 4안형주 서구의원, "서창천 제방도로 안전대책 마련 촉구"
- 5폭우 내린 광주, 물살 쓰러진 70대 남성...시민들이 구해
- 6계명문화대 슬로우푸드조리과 강명훈 씨, 장학금 500만 원 기부
- 7대구행복진흥원, 이민정책연구원과 업무협약 체결
- 8김범수 카카오 창업자, 암 재발로 최근 재수술
- 9남원시의회, 필수농자재 지원 법적 근거 마련
- 10제95회 남원 춘향제, ‘추천하고 싶은 축제’ 전국 2위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