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연일 재난수준의 무더위가 계속되고 있습니다. 이런 날씨엔 냉방기 사용으로 전력사용량이 급증해 변압기 과부하로 아파트 단지에 정전이 발생하곤 하는데요. 정전이 일어나면 한국전력에서 원인을 파악하고 복구작업을 벌입니다. 작업하는 동안엔 비상발전차를 투입해 긴급 발전을 하고 있는데요. 하지만 입주민들은 여전히 더위와 싸우며 불편을 겪고 있는 모습입니다. 왜 그런지 정창신기자가 알아봤습니다.
[기자]
한국전력에서 보유한 비상발전차가 서울에 2대 경기, 인천에 각 1대씩 수도권에 4대뿐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전 15곳 지역본부를 합쳐도 전국 총 18대에 불과합니다.
비상발전차는 아파트 단지에 정전이 발생했을 때 복구 작업을 하는 동안 긴급하게 전기를 공급해 주는 역할을 합니다.
한전 관계자는 “보통 낡은 아파트에서 주로 정전이 일어난다”면서 “왜 정전이 일어났는지 원인을 파악해서 입주민들한테 설명해주고 비상발전기를 돌린다”고 설명했습니다.
업계에 따르면 일부 노후 단지의 경우 대형 가전제품, 냉방기 보급 확대 등으로 늘어난 전력수요를 감당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통계청에 따르면 전국에 준공 20년 이상된 노후주택은 760만 가구. 특히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에 40% 가량인 303만가구가 몰려있습니다.
동시다발적인 정전이 일어났을 때 비상발전차 지원을 받기 힘들단 얘깁니다.
특히 한전이 보유한 비상발전기 용량은 500kW.
업계에선 하루에 가구당 3kW 정도 전력을 쓰는 것으로 보고 있는데, 비상발전기로는 160가구 가량을 커버할 수 있는 수준입니다.
비상발전기는 엘리베이터나 지하주차장, 복도 등 일부 공용부분에 전기를 공급합니다.
수백세대 아파트 단지에 정전이 발생하면 입주민들이 무더위로 고생할 수밖에 없는 이유입니다.
업계에 따르면 최근 짓는 아파트 단지엔 비상용 발전기가 설치돼 있습니다.
정부는 2000년대 초반 소방시설, 승강기 등에 예비전원 공급장치 설치를 의무화했는데 소방청과 행정안전부 고시 등에 규정돼 있습니다.
건설업계 관계자는 “아파트 발전기는 전 세대에 전기를 공급하는 건 아니고 비상등, 소방펌프, 스프링클러 등에 임시로 전기를 공급하게 돼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게다가 정작 주택법에는 비상용 발전기 설치 규정이 없는 상황입니다.
지난해 9월 바른미래당 이찬열 의원 등이 ‘아파트 비상용 예비전원 시설 설치 의무화’ 조항을 신설하는 내용의 주택법 일부 개정안을 발의했지만 현재 국회 계류 중입니다.
이 개정안에는 “전력 공급 중단으로 발생하는 주민불편 등을 최소화하기 위해 비상용 발전기 등의 시설을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준에 따라 설치해야 한다”는 내용을 담았습니다.
정부는 다음 주에도 폭염이 예보된 상태라 전력수요가 올라갈 가능성이 클 것으로 관측하고 있습니다. 노후 아파트의 정전 가능성도 계속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서울경제TV 정창신입니다. /csjung@sedaily.com
[영상편집 이한얼]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