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리드] 우리 몸에서 가장 큰 관절 중 하나인 무릎 관절은 가장 복잡하기도 하며 늘 사용하기 때문에 손상이 많은 편에 속한다. 대퇴골과 경골, 그리고 슬개골로 이루어진 무릎 관절에는 뼈와 뼈 사이에 위치해 충격을 흡수하는 연골이 있는데 이곳에 손상이 와도 대부분은 걸을 수도 있으며 운동도 할 수 있어 자칫 방치하기 십상이다. 치료를 받지 않을 경우 연골 조직이 느슨해질 수 있고 관절 안에서 떠돌며 무릎에 불안정 증상을 유발한다.
연골은 스스로 치유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무릎이 붓거나 운동 범위가 줄어들면 병원을 찾아 적극적인 치료에 임해야 한다. 연골 손상을 방치함으로써 닳아 없어지면 뼈와 뼈가 직접 닿는 관절염으로 진행돼 극심한 통증과 운동 제한이 이어진다.
연골이 찢어지는 이유는 퇴행성으로 인한 경우가 많고 젊은 층에서는 대부분이 스포츠로 인한 손상이 많다. 비수술적 치료인 안정, 냉찜질, 압박, 거상, 약물 치료 등이 있는데 효과가 없거나 통증이 지속될 경우 수술적 치료를 고려하게 된다.
최근에는 수술적 치료 중 ‘줄기세포 치료’가 단 1회의 수술로 연골재생 효과가 뛰어나 각광을 받고 있는 추세다. 줄기세포치료는 퇴행성관절염 또는 외상으로 인한 골관절염 환자의 연골 손상(결손)에 대해 시행하는 것으로 여기에 이용되는 줄기세포는 제대혈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다. 이 줄기세포는 아기가 태어날 때 탯줄에 있는 혈액에서 분리해 배양한 세포로 연골, 뼈, 근육, 지방 등 몸의 다양한 조직 세포로 분화할 수 있는 ‘성체 줄기세포’다.
무릎연골 손상 줄기세포 치료에 이용되는 성체줄기세포는 다양한 임상시험에서 종양 발생이나 면역 거부 반응의 부작용 없이 난치성 치료 및 조직 재생치료제로써의 장점을 갖고 있다. 줄기세포 치료는 관절 내시경으로 관절연골 결손 부위에 작은 구멍을 여러 개 뚫고 그 속에 줄기세포 치료제를 채워 넣은 후 전체를 도포하는 방식으로 치료한다. 줄기세포 치료는 연골재생 효과가 뛰어나며 내시경으로 수술하기 때문에 출혈과 통증이 최소화 된다는 장점이 있다. 또 시술 시간도 짧아 회복 기간도 단축돼 최근 상담이 크게 늘고 있다.
광주 가제트병원의 박종민 원장은 “무릎 연골 손상은 초기에 치료하지 않으면 관절염으로 악화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평소 무릎 앞쪽 통증이나 구부렸다 펼 때의 통증, 붓기가 지속되는 등의 증상이 있으면 조기 검진을 통해 치료에 빨리 임하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또 박원장은 평상시 하체 근력 운동, 특히 허벅지 근육 운동을 꾸준히 하면 무릎 관절을 지키는데 도움이 된다며 대퇴사근 강화운동, 다리 들기 운동 등을 정기적으로 하도록 권장했다. 한편 박원장은 지난 달 박원장은 머니투데이(MTN) ‘신영일의 비즈정보 플러스’에서도 무릎연골 손상 줄기세포 치료에 대해서 소개된 바 있다./방현준기자hj0608@sedaily.com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