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실적 부진으로 힘든 자동차 업체들이 내년에도 힘든 한해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해외판매 부진을 그나마 내수시장에서 만회하고 있었는데요. 내년부턴 자동차에 붙는 개별소비세 인하 종료와 함께 전기차 보조금도 줄어들 예정이라 내수시장에서 거래절벽이 오는 게 아니냐는 우려도 나오고 있습니다. 정창신기자입니다.
[기자]
해외판매 부진에 고전하고 있는 자동차업계가 내수 시장에서도 찬바람을 맞을 것으로 보입니다. 중국의 대출규제 등으로 국내 완성차 업체들의 해외 판매가 답보상태를 보인 바 있습니다. 여기다 국내에선 내년부터 자동차에 붙는 개별소비세 인하가 종료되고 전기차 보조금도 줄어들 예정이라 내수 판매 실적도 녹록치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개소세는 지난 7월부터 연말까지 한시적으로 1.5%포인트 내린 3.5%가 적용 중입니다.
아직까진 정부의 세제 혜택 덕에 내수판매는 증가하는 모습입니다.
자동차산업협회에 따르면 개소세 인하 전 상반기 월평균 내수 판매는 12만6,000여대로 전년동기(13만여대)대비 3% 감소했습니다.
하지만 개소세 인하 시행 후인 7~10월 월평균 판매는 12만8,000대 가량으로 전년동기대비(12만5,000여대) 2% 증가했습니다.
여기에 내년부터 전기차 보조금도 줄어들 예정입니다.
정부는 내년 전기차 보급 관련 예산을 4,573억원으로 책정했습니다. 올해(3,523억원)보다 1,000억원 가량 늘렸지만 지원대수를 올해 2만대에서 내년 3만3,000대로 늘리기로 한 겁니다.
이렇게 되면 차량 1대당 지원금은 기존 1,200만원에서 900만원으로 축소됩니다.
올해 정부지원금에 지자체 지원금(500만원)을 받아 총 1,700만원 가량 싸게 살 수 있었던 전기차가 내년부터는 300만원을 더 내고 사야한단 뜻입니다.
업계에서 세제 혜택 종료와 전기차 보조금 축소로 내수 시장에서 거래절벽이 오는 게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는 이유입니다.
하지만 일부에선 내수판매가 크게 줄지 않을 것이란 의견도 있습니다.
전기차 보조금이 줄어드는 대신 혜택을 받는 소비자가 더 늘어 시장규모가 커지는 효과가 있는 만큼 결국 업계에 도움이 될 것이란 전망입니다. 시장이 커지면 생산량이 늘어나기 때문입니다.
서울경제TV 정창신입니다. /csjung@sedaily.com
[영상편집 이한얼]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