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오늘(10일) SK에너지와 GS칼텍스가 주유소를 활용한 두 번째 공유인프라 서비스인 ‘큐부’를 론칭했습니다. 주유소 한켠에 무인 스마트보관함을 설치해 택배물품을 대신 받고 중고물품, 세탁물도 보관할 수 있게 한다는 건데요. 고객은 주유하러 갔다가 물건을 맡기거나 찾을 수 있어 편리해질 전망입니다. 정창신기자입니다.
[기자]
서울 강남구에 있는 한 주유소.
무인 택배보관함이 설치돼 있습니다. 주유소에 이 같은 보관함이 설치된 건 이번이 처음입니다.
오늘(10일) GS칼텍스와 SK에너지가 손잡고 주유소에 스마트 보관함 서비스를 시작했습니다.
이 서비스는 주유소 내에 설치된 스마트 보관함에 택배보관, 중고물품 거래, 세탁물 보관, 물품 보관 등을 할 수 있습니다.
세탁소가 문을 열지 않은 시간에도 세탁물을 넣어두면 세탁소에서 찾아가는 식입니다.
[싱크] 이상욱 / GS칼텍스 위디아팀 과장
“주유소 스마트 보관함을 통해서 직접 만나지 않고도 중고물품 거래가 가능하고요. 차량 접근성이 용이하다보니 이불같이 부피가 큰 세탁물도 편하게 맡기고 찾는 것이 가능합니다.”
고객의 경우 원하는 시간에 물건을 맡길 수 있고, 주유소 입장에선 물건 찾으러 온 고객이 주유할 가능성이 커 매출 증대도 기대할 수 있습니다.
여기에 스마트 보관함을 광고 플랫폼으로 활용할 수도 있습니다.
이 서비스는 대기업과 스타트업간 상생 생태계 조성과 주유소를 여러 사업에 활용한 공유경제 활성화에 도움이 될 것으로 관측됩니다.
실제로 스타트업인 스마트 큐브는 스마트 보관함 제작과 시스템 운영 등을 맡고, 리화이트는 세탁서비스를, 마타주는 물건 보관서비스를 담당합니다.
또 중고거래 사이트인 중고나라는 중고물품 거래 서비스를 맡게 됩니다.
우선 서울 강남구 GS칼텍스 삼성로주유소와 관악구 SK에너지 보라매주유소 등 서울 20곳에서 이 서비스를 시작합니다.
고객 반응과 사업성을 검토한 뒤 거점 주유소를 점차 확대해 나갈 예정입니다.
SK와 GS는 지난 9월 주유소에 택배서비스 홈픽을 론칭한 바 있습니다. 주유소를 활용한 공유경제 서비스 1탄인 셈인데 이 서비스는 하루 최대 주문량이 1만건에 달할 정도로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
서울경제TV 정창신입니다. /csjung@sedaily.com
[영상취재 장명석 / 영상편집 이한얼]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