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정부 코스피 상승률, 역대 대통령 중 최하위

문재인 대통령 취임 후 2년간 코스피는 약 5% 하락하고 코스닥지수는 16%가량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역대 대통령 중 코스피 상승률은 최하위이고 코스닥은 중위권 성적이다.
9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문 대통령 취임(2017년 5월 10일) 후 약 2년이 지난 8일 코스피는 2,168.01로 마감, 취임 직전 거래일인 2017년 5월 8일(2,292.76)보다 5.44% 떨어졌다.
코스피는 문 대통령 취임 후 기업실적 개선과 주주 친화 정책 강화 등 정책 기대감에 힘입어 작년 1월 29일 장중 한때 사상 처음으로 2,600선을 돌파하기도 했다.
하지만 그 뒤 미중 무역분쟁에 따른 불안, 기업실적 부진 등 대내외 악재의 영향으로 작년 10월 말께 2,000선 밑으로 후퇴했고 올해 들어 소폭 회복한 상태다.
코스피 출범(1983년 1월 5일) 이후 취임한 대통령 7명의 코스피 등락률로 보면 문 대통령의 취임 2년째 증시 성적은 최하위권이다.
김대중 전 대통령 때는 한국경제가 외환위기에서 빠져나오면서 취임 후 2년간 코스피가 60.36%나 뛰어올랐다.
노무현(60.17%)·김영삼(32.71%)·노태우(28.69%) 정부 때도 2년간 코스피는 두 자릿수 상승률을 보였다.
그러나 증시가 박스권에 갇힌 박근혜 정부(-2.12%)와 글로벌 금융위기를 겪은 이명박 정부(-4.37%) 때는 코스피가 하락했다.
코스닥지수는 문재인 정부 2년간 혁신성장 지원, 코스닥 활성화 대책 등에 힘입어 비교적 견조한 상승세를 나타냈다.
코스닥지수는 지난 8일 745.37로 마감했는데, 이는 문 대통령 취임 직전(643.39)보다 15.85% 오른 수준이다.
코스닥지수도 증시가 활황세를 보인 작년 1월 920대까지 치솟았으나 그 뒤 미중 무역분쟁 등 여파로 상승 폭의 상당 부분을 반납했다.
문 대통령 취임 후 2년간 코스닥지수 상승률은 코스닥 출범(1996년) 후 역대 대통령 5명 가운데 3번째다.
김대중 정부 때는 2년간 코스닥이 정보기술(IT)·닷컴 열풍의 영향으로 168.87%나 급등했고 박근혜 정부 때도 창조경제 정책 등에 힘입어 17.59% 상승했다. 노무현 정부 때는 13.40% 올랐다.
그러나 이명박 정부(-21.29%) 때는 금융위기의 후유증에 코스닥도 하락세를 기록했다./김성훈기자 bevoice@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오하임앤컴퍼니, 사명 변경...호카 리테일 오프라인 사업 인수
- 리메드, 에스테틱 기기 중심 턴어라운드 기대-KB
- SK하이닉스, HBM 출하량 호조…3Q 깜짝 실적 전망-키움
- NH농협은행, 해외점포 내부통제 강화 현장 점검
- 삼성화재, '보험의 2치' 출시…중증치료비·치매 보장
- 우리銀 베트남 투자설명회 개최…중소기업 글로벌 도약 물꼬 튼다
- 우리銀, 국민연금 수탁은행에 4회 연속 재선정
- 하나銀·산자부·HL그룹·무보, 美 관세 피해 협력업체 대상 수출금융 지원
- 한양·LS證, 부실 코스닥社 자금조달서 활발한 '팀플레이'
- 보험硏 "500만 치매 시대…한국도 지자체 보험 필요"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한화로보틱스, 위아공작기계와 '협동로봇 자동화 솔루션' 협약
- 2오하임앤컴퍼니, 사명 변경...호카 리테일 오프라인 사업 인수
- 3넥센타이어, SBTi 온실가스 감축목표 승인 획득
- 4셀트리온, 바이오 헬스 아카데미 프로그램 ‘셀온’ 1기 모집
- 5hy, ‘브이푸드 위클리’ 3종 출시…주 단위 정기배송
- 6리메드, 에스테틱 기기 중심 턴어라운드 기대-KB
- 7LG전자, 가성비 무선이어폰 ‘엑스붐 버즈’ 라인업 확대
- 8에어프레미아, 추석맞이 전 노선 특가 프로모션 진행
- 9대한항공, 웹사이트·모바일 앱 접근성 품질인증 동시 획득
- 10에어서울 임직원, ‘밥퍼’와 무료 급식 봉사 진행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