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성·하남 등 경기 인구증가율 ‘톱 5’ 지역…“기반시설 개선 기대”
경제·산업
입력 2019-07-17 08:27:03
수정 2019-07-17 08:27:03
정창신 기자
0개

주거비 부담으로 탈(脫)서울 현상이 이어지면서 경기 일부지역에 인구가 증가하는 모습이다.
17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경기도에서 인구 폭이 가장 큰 곳은 화성(9.8%) 이었으며, 이어 하남(9.4%), 김포(7.9%), 시흥(6.9%). 광주(5.2%)가 ‘톱 5’에 들었다. 같은 기간 경기도 평균 증가율(1.6%)을 크게 웃도는 수치다.
이들 지역은 서울 접근성이 좋다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광주시는 2022년 일부(서울~안성 구간) 개통 예정인 서울~세종고속도로 오포IC를 통해 서울까지 20분대로 이동이 가능하다. 또한 서울~세종고속도로를 이용하면 3번국도, 제2영동고속도로, 제2경인고속도로로 진입하기 수월해 판교를 비롯해 분당신도시와 기타 수도권으로 빠르게 이동할 수 있다.
하남은 내년 지하철 5호선 미사역 개통이 예정돼 있고, 동탄신도시가 속한 화성도 SRT 동탄역 등 광역 교통망이 확충 됐다. 김포도 김포도시철도가 올 하반기 개통 예정돼 9호선 김포공항역(5호선, 공항철도 환승)까지 연결된다.
부동산 전문가는 “교통호재, 지역개발 등으로 인구가 몰리면 일터와 삶터가 늘어나고 그에 맞는 교통, 교육, 문화 등 인프라 시설이 꾸준히 개선된다”며 “좋아진 기반시설을 보고 다시 사람이 몰리는 선순환 구조가 진행될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정창신기자 csjung@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중기중앙회, 제4차 中企공공조달 정책연구회 개최
- 중진공, 융복합 데이터 활용 창업 경진대회 개최
- '리더십 공백' 해소 노태문…"'원 삼성'으로 민접한 조직 문화 실현"
- 경기도사회적경제원, ‘사회적경제 도약패키지’ 참가 기업 모집
- 한화, 자립준비청년 사회 정착 돕는다…'한화와 함께하는 희망 보금자리 1호' 개관
- 귀뚜라미홀딩스, 지난해 역대 최대 매출액... 5년 연속 갱신
- 캠톡, 구글플레이 매출 순위서 인스타그램 추월
- 서경방송, 산청·하동 산불 피해 복구 위해 6000만 원 기부
- “깨끗한 거리 함께 만들어요”…진에어, 봄맞이 환경 정화 활동
- 래시, 봄맞이 '블랙데이' 맞이 ‘래시데이 1+1 행사’ 진행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