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살 미만 아동에 건물 증여 급증…“세 부담 회피”

[서울경제TV=이아라기자]
[앵커]
10살이 채 되지 않은 어린 자녀 등에게 아파트 등 건물을 증여하는 사례가 급증하고 있습니다. 집값 상승에 따른 양도·보유세 부담을 피해, 다주택자들이 증여에 눈을 돌리는 것이라는 분석이 나옵니다. 보도에 이아라기자입니다.
[기자]
2018년에 납부세액이 결정된 증여는 모두 16만 421건.
증여된 재산의 가치는 모두 28조 6,100억원으로 집계됐습니다.
한 건당 평균 1억 7,834만원 어치의 재산이 증여된 셈입니다.
2017년과 비교해 결정 건수와 증여재산가액이 각각 9.62%, 16.65% 늘었습니다.
눈에 띄는 점은 아파트 등 건물을 증여받은 10세 미만 어린이가 크게 늘었다는 점입니다.
증여받은 사람의 연령과 증여 재산 종류를 나눠보면, 지난해 아파트 등 건물을 증여받은 10세 미만 아동은 468명으로 전년과 비교해 51.95% 급증했습니다.
증여재산가액은 819억 2,200만원으로 1년 새 82.8%나 늘었습니다.
증여재산가액은 해당년도 증여재산가액에 과거 분할 증여재산까지 모두 더한 것입니다.
10세미만 뿐 아니라 청소년까지 포함한 19세 이하 증여받은 사람과 증여재산가액도 각각 27.2%(8,552명→1만880명), 18.4%(1조1,977억3,100만원→1조4,186억9,900만원) 증가했습니다.
이와 관련해 국세청은 고가주택 등 부동산 취득과정에서의 편법 증여에 대해서 강경하게 대응할 방침이라고 밝혔습니다.
서울경제TV 이아라입니다. /ara@sedaily.com
[영상편집 김준호]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한국GM 노사, 2025년 임금 교섭 잠정합의안 도출
- 통상본부장 방미 후 귀국 "'韓, 日과 다르다' 최대한 설득"
- 엔비디아, 인텔에 50억 달러 지분투자…'차세대 칩' 개발
- 현대차, 2030년까지 77.3兆 투자…글로벌 555만대 판매
- 건설협회, 스마트건설 청년인재 채용설명회 개최
- 고강도 노동안전 대책에…건설업계 “공급 위축 우려”
- LG전자, 전사 희망퇴직 확대…인력 선순환 총력
- HD현대重 노사, 임금협상 잠정합의…조선3사 임단협 막바지
- 에코프로, 인니 2기 투자 본격화…“사업 다각화”
- 확 바뀐 홈쇼핑…“AI쇼호스트 도입·챗봇이 주문·배송”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한국GM 노사, 2025년 임금 교섭 잠정합의안 도출
- 2통상본부장 방미 후 귀국 "'韓, 日과 다르다' 최대한 설득"
- 3빗썸, 창립 12주년 맞아 원화마켓 200종 거래 수수료 '0원'
- 4엔비디아, 인텔에 50억 달러 지분투자…'차세대 칩' 개발
- 5신한카드, 위기브와 고향사랑기부금 캐시백 이벤트 진행
- 6현대차, 2030년까지 77.3兆 투자…글로벌 555만대 판매
- 7수원형 역세권 복합개발.. ‘공간 대전환’사업 발표
- 8안동시, '2025 청년의 날 기념식' 개최…청년 네트워킹의 장 마련
- 9안동시, 산불 피해 딛고 만휴정 정비 완료…9월 25일 공식 개방
- 10안동시, 영양군과 ‘은하수랜드·공공산후조리원’ 건립 추진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