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대실적 예고 셀트리온, 7년만에 현금배당 실시할까?

[서울경제TV=배요한기자] 올해 셀트리온이 전년보다 대폭 증가한 사상 최대 실적이 예상되는 가운데 주주친화 정책의 일환으로 현금배당을 실시할지 관심이 쏠린다. 셀트리온은 회계연도 기준 2013년부터 7년 연속 주식배당 정책을 펼쳐왔다. 하지만 현금배당이 아닌 주식배당은 주식 가치에 부정적이라는 점에서 회사가 주주환원 정책에 인색하다는 볼멘소리도 조심스레 나온다. 코스피 시가총액 상위 10대 기업에 이름을 올린 만큼 이제는 위상에 걸맞게 현금배당도 고려할 때라는 지적이다.
17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상반기 연결 기준 셀트리온의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8,016억원과 3,020억원을 기록해 전년반기 대비 75.5%, 87.9% 증가했다. 같은 기간 당기순이익은 2,438억원으로 72.5% 늘었다. 별도 기준 셀트리온의 배당가능이익은 2조2,347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셀트리온은 2006년부터 2012년(회계년도 기준)까지 현금배당을 해왔지만 지난 2013년부터 7년 연속 주식배당만을 해오고 있다. 주식배당은 현금배당과 달리 현금 유출이 없으면서도 자본금이 증가하는 효과를 내 재무구조가 개선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배당금을 사내유보금으로 쌓게 되면 회사는 이를 연구개발(R&D)이나 설비투자 등에 활용할 수 있다.
하지만 주식배당은 유통 주식 증가에 따른 보유 주식 가치 희석으로 인해 주가에는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배당락 당일에는 주가를 인위적으로 떨어뜨리는 이른바 ‘배당락 효과’가 나타나기 때문이다. 만약 셀트트리온의 주가가 상승할 경우에는 시세차익을 얻을 수 있지만 하락할 경우에는 주식 수 증가와 맞물려 주가하락이라는 이중고를 겪을 수 있다.
2분기말 기준 셀트리온의 소액주주들은 총 22만6,146명으로 이들은 총 발행주식의 62.97%(8,080만9,404주)를 보유하고 있어 과반이 넘는다. 이에 반해 최대주주 셀트리온홀딩스와 우호지분을 합쳐도 22.74%(3,067만9,943주) 정도다. 반면 회사 임직원들은 스톡옵션 행사를 통해 쏠쏠한 수익을 챙겨왔다. 또한 현재 미행사된 셀트리온 임직원들의 주식매수선택권(스톡옵션) 규모는 235만6,276주에 달해 잠재 매물에 대한 부담도 있는 상황이다.
셀트리온 관계자는 “현재 셀트리온은 제약바이오 분야의 제품개발 역량 강화를 위해 해마다 매출액의 30% 정도를 R&D 투자에 사용하고 있다”면서 “이에 따라 투자를 위한 현금보유 필요성 등으로 인해 현금배당 대신 주식배당을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주식배당은 향후 R&D 역량 강화에 따른 파이프라인 확장으로 이어져 주가가 상승하는 등 주주가치 제고에 기여 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한편 셀트리온은 자가면역치료 바이오시밀러 램시마SC(피하주사형)와 혈액암 치료제 트룩시마의 고성장으로 인해 올해 역대 최대 실적을 예고하고 있다. 금융정보업체 에프엔가이드에 따르면 증권사들이 예상한 올해 셀트리온의 매출액은 1조7,408억원, 영업이익은 6,899억원으로 추정했다. 이는 전년 대비 각각 54.2%, 82.4% 늘어난 수치다. /byh@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오천피 의지 있나"…대주주 새 기준에 증권가 성토
- 경평 하락에 노사 갈등까지...뒤숭숭한 기업銀
- 여신협회장 임기 종료 임박…분주해진 물밑 경쟁
- KB국민카드, '2025 인천펜타포트 락 페스티벌' 대성황 이뤄
- 롯데카드, ‘굿네이버스 레이스 with 띵크어스’ 참가자 모집
- 교보생명, 광복 80주년 맞아 건물 외벽에 '특별한 태극기' 게시
- 티머니, '산리오캐릭터즈 좋은 날 티머니카드' 출시
- ABL생명, AI 활용한 '고객 맞춤형 보험상품 추천 서비스’ 도입
- 비자 "2026 FIFA 월드컵 경기 티켓 사전 응모 혜택 제공"
- 한켐 "OLED 부문 '발광층 소재' 매출 비중 확대"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배낙호 김천시장, 송언석 국회의원과 ‘쉼표 없는 세일즈 행정’ 눈길
- 2경주시, ‘청렴 도시 경주’ 실현 한수원과 함께 나선다
- 3포항시, ‘제주해녀 특별전’ 등 여름맞이 다채로운 문화행사 개최
- 4이강덕 시장, 산사태 취약지역 긴급 현장 점검 나서
- 5경주시, 여름철 해수욕장 안전관리 총력
- 6포항시, 호미반도권 1조원 규모 대형 관광개발 본격화
- 7한국수력원자력, 경주시 반부패⸱청렴 업무협약 체결
- 8대구 달성군, 제2국가산업단지 예타 통과
- 9대구시, 제2국가산업단지 예비타당성조사 통과
- 10남원시, 한달살기 게스트 하우스 3차 입주자 모집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