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가사 편차 큰 신용등급…은행 신용대출자 1등급 18%p 차

[서울경제TV=정순영 기자] 은행 대출고객들의 신용등급 분포가 평가기관 간 큰 차이를 보여 신용평가사의 신용평가 등급이 공정하게 산출되고 있는지 살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더불어민주당 윤관석 의원은 23일 금융감독원으로부터 개인 신용평가회사 2곳의 은행 대출고객 신용등급 분포 현황을 확인한 결과, 신용대출 고객의 경우 1등급 고객 비중이 18.4%포인트 차이가 났고, 주택담보대출 고객의 경우 1등급 고객 비중은 36.7%포인트 차이가 났다.
NICE 평가정보의 경우 은행 대출고객 중 신용등급 1등급 차주의 비중이 2016년 9월말 40.2%를 기록한 뒤 5년간 꾸준히 증가해 올해 9월말 48.1%에 이르렀다.
1등급 고객 수는 226만4,509명에서 310만8,320명으로 80만명 넘게 늘었다.
그러나 평가 대상 인원에 차이가 없음에도 1등급 차주 비중이 2016년 대비 7.9%포인트 오른 NICE평가정보와 달리, KCB의 올해 9월말 기준 1등급 차주의 비중은 오히려 2016년 12월말보다 0.5%포인트 줄어든 29.7%였다.
1등급 차주 수도 2016년 162만8,729명에서 올해 184만8,609명으로 22만명 가량 증가해 변동폭이 작았다.
또, KCB의 경우 신용대출을 받은 3등급 이상 우량 등급 고객의 비중도 올해 9월말 기준 NICE평가정보보다 7.8%포인트 적은 70.5%였다.
주택담보대출 고객의 경우 분포 차이가 훨씬 컸다.
NICE평가정보의 경우 1등급 차주의 비중이 무려 52.9%였던 반면, KCB의 경우 16.2%에 불과했다.
3등급 이상 우량등급 고객 비중도 NICE평가정보는 86.5%, KCB는 75.3%로 KCB가 11.1%포인트 적었다.
평가기관 간에 신용등급 분포가 큰 격차를 보이는 이유는 과거 회사마다 획일적이던 평가 모델이 차별화된 결과라는 분석이다.
고객의 신용등급 상향 요청 반영 여부 등 평가회사 간의 성향 차이가 반영된 것 아니냐는 해석도 제기된다./binia96@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이니텍, '깜깜이 딜'에 매각 지연…주담대 리스크 어쩌나
- 정책 보조 선도한 우리금융…자본비율 관리 '고심'
- 미중 갈등 커지나…트럼프가 멈춰세운 코스피
- BNK금융그룹, 차기 대표이사 회장 선임 논의 본격화
- IBK기업은행, 2025년 IBK 혁신펀드 위탁운용사 선정 공고
- 광주은행 '씨앗봉사단', 자율 봉사활동으로 지역사회 온정 나눠
- iM뱅크, 외국인 근로자 대상 'WELCOME iM 외국인 신용대출' 출시
- 제이준코스메틱 "차에이아이헬스케어로 사명 변경"
- 골드앤에스, 시원스쿨랩 지난해 한국 토플 성적 분석 결과 공개
- 키움증권, 중개형ISA 혜택드림 이벤트 진행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이니텍, '깜깜이 딜'에 매각 지연…주담대 리스크 어쩌나
- 2남양주시, 43년 만에 문화원 첫 독립 청사 개원
- 3‘용인포은아트홀’ 새단장 마치고 다양한 공연 줄이어
- 4인천의 에너지 전환, 지역발전의 미래를 열다
- 5진도군, 고속철도 국가계획 반영 위한 범군민 결의대회
- 6서울대병원, 이종조직판막 인간 재세포화 성공
- 7한국도자재단, 빛나는 손끝의 예술… ‘경기도 공예주간’ 개막
- 8고려대안산병원 서보경 교수, 유럽유방영상의학회 최다 인용 논문상 수상
- 9오산시, '오색찬란 희망찬 빛의 도시' 도약
- 10부천 대장신도시, 광역교통대책 '줄줄이' 지연…입주민 교통대란 우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