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닉스,자율주행 핵심기술 ‘V2X 소프트웨어 플랫폼' 상용화 성공
[서울경제TV=김혜영기자]라닉스가 V2X 분야에서 C-V2X(Cellular Vehicle to Everywhere)와 WAVE(Wireless Access in Vehicular Environments)를 동시에 구현 및 운용 가능한 V2X 통신 및 보안 소프트웨어 플랫폼(RVP, RANIX V2X Platform)을 개발했다고 20일 밝혔다.
V2X란 말 그대로 차량과 주변 차량, 주변 사물끼리 데이터를 주고받는(vehicle to Everyting) 기술을 통칭한다. 시각정보 위주의 자율주행 센서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필수 핵심기술로 평가받고 있다.
현재 V2X 통신 표준으로는 C-V2X와 WAVE가 경쟁하고 있는데, 라닉스가 개발한 V2X 소프트웨어 플랫폼(RVP)는 이 두가지 표준을 동시 구현 및 운용이 가능하며, 통신 매체 하드웨어에 관계없이 운용할 수 있는 플랫폼으로 개발되었다.
V2X 기반의 다양한 적용업무는 V2X 플랫폼위에서 용이하게 개발 구현할 수 있다. 특히, 라닉스의 V2X 소프트웨어 플랫폼(RVP)는 C-V2X에서도 LTE망을 사용하는 LTE-V2X뿐만 아니라, 5G망을 사용하는 5G-V2X까지 모두 대응이 가능한 소프트웨어 V2X 플랫폼으로써 4G, 5G환경을 지원한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특히 5G 기지국 솔루션이 AI를 기반으로 Open RAN 구조를 채택하는 추세이므로, SDR(Software Defined Radio)위에 RVP를 설치해서 기지국 및 OBU(On Board Unit)에 이르기 까지 통합된 V2X플랫폼을 구성할 수 있다. 즉, 망사업자부터 기지국 장비제조사, 그리고 적용업무 개발사 및 OBU 제조사등의 다양한 기술적 요구에 RVP 플랫폼 표준으로 대응할 수 있는 기술력을 갖추게 됐다고 회사측은 설명했다.
또한, 라닉스 V2X 소프트웨어 플랫폼은 고속 V2X 보안 엔진까지 지원하고 있는데, 빠른 처리성능과 보안성을 극대화하여 V2X통신으로 불특정 다수와 통신시 발생할 수 있는 보안문제를 해결해준다고 덧붙였다.
라닉스 관계자는 “5G 시대를 대비한 차세대 5G-V2X 모뎀 솔루션을 개발 중이며, 이를 운용하기 위한 V2X 플랫폼은 이미 준비가 완료된 상황이다.”라며 “꾸준한 개발을 통해 V2X 기반의 독자적 플랫폼 기술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글로벌 시장에 적용할 수 있도록 V2X 플랫폼 기술의 고도화에 만전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이는 향후 글로벌 시장에서 전개될 해외 경쟁사들과 시장 확보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한 전략적 행보로 해석된다.
업계에서는 C-V2X의 플랫폼은 현재까지는 LTE-V2X가 우세한 상황이지만, 미래의 차세대 플랫폼인 5G-V2X에 대한 업계의 주목도가 점점 높아지고 있기 때문에 RVP 플랫폼 기술을 보유하게 된 라닉스의 글로벌 시장에서의 활약이 더욱 기대된다는 전망이다./hyk@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소호 1강 독주’ 4인뱅 인가전…6월 결과 나온다
- ‘블랙 먼데이’ 공매도 재개 첫날 코스피 3% 급락
- KB국민銀, 전세사기 예방 숏폼 드라마 ‘반반하우스’ 공개
- 새마을금고, 2025년 상반기 신입직원 공개채용 실시
- 토스뱅크 출범 이래 첫 연간 흑자 달성…지난해 당기순이익 457억원
- KDB SOS Fund 운영 중인 산업은행…선박혁신프로그램 1·2호 완료
- 신한은행, CU편의점과 ‘4월 거짓말 같은 SOL트카 혜택’ 이벤트
- [인사] 우리자산운용
- ABL생명, 보장성 보험 신상품 2종 출시…장기요양·치매보장 강화
- 해빗팩토리, 자동차보험 비교·추천 서비스 2.0 출시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