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인·스터디카페, 코로나 방역도 위생도 ‘엉망’

[서울경제TV=문다애 기자]
[앵커]
비대면 문화가 확산되면서 무인 형태의 매장이 늘고 있습니다. 그런데 관리자가 상주하지 않아 방역과 위생 관리의 사각지대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문다애 기자입니다.
[기자]
코로나19 이후 비대면 서비스를 찾는 수요에 맞춰, 빠르게 늘고 있는 무인 매장. '무인 카페'와 '스터디 카페'가 대표적입니다.
그런데 정작 방역과 매장 위생 관리는 엉망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한국소비자원이 총 20곳을 조사한 결과 90%(18곳)가 발열 여부와 관계없이 출입이 가능했습니다.
다중이용시설 방역의 핵심은 발열 증상을 확인해 출입여부를 가리는 것인데, 대부분 지켜지지 않고 있던 겁니다.
'열화상 카메라'를 설치한 곳도 단 두 곳, 절반 이상은 체온계도 없었습니다.
위생관리도 허술합니다. 무인 스터디카페 매장 3곳의 얼음에서 식품접객업소 안전기준(1,000cfu/ml)을 초과하는 일반세균이 검출됐고, 일부 정수기와 커피머신 취수부에서는 대장균까지 나왔습니다.
안전 사고에도 취약합니다. 관리자가 상주하지 않아 인명·재산 피해가 커질 가능성이 높지만, 7곳은 소화기를, 3곳은 스프링클러를 마련하지 않았으며 7곳에는 비상구가 없었습니다.
이 같은 문제는 불명확한 업종 구분 때문. ‘식품 자동판매기업’으로 등록된 무인 카페는 안전 시설을 설치할 의무가 없고, ‘시설대여업’인 무인 스터디 카페는 식품 위생법 규제를 받지 않습니다.
[싱크] 한국소비자원 심성보 팀장
“이번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관계 부처 및 지자체에 무인 카페·스터디카페의 방역수칙 준수, 위생 및 안전시설에 대한 관리·감독 강화와 무인시설을 관리할 수 있는 업종 구분의 명확화를 요청하고…”
소비자원은 제도정비에 앞서 위생 등 안전관리가 미흡한 사업자에 대한 자율 시정을 권고할 예정입니다.
서울경제TV 문다애입니다./dalove@sedaily.com
[영상편집 김현지]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정부 "국정자원 화재로 정부 업무시스템 647개 가동 중단"
- 기재차관, 위기상황대응본부 긴급소집…e나라도움 등 피해 점검
- 美대법원, 트럼프 '국제원조예산 5.6조원 동결' 허용
- "현지 업체 반응 뜨거워"…NC AI, 도쿄게임쇼 참가
- 정부 내부 업무망 '온나라시스템' 마비…"접속 불가"
- WSJ "美 자동차 산업, 경제에 경고 신호 보내"
- 통계청 "통계청 홈페이지·국가통계포털 등 서비스 되지 않아"
- 정부 고위관계자 "경주APEC계기 북미 정상대화 가능성 배제못해"
- 美의약품관세, 日·EU 15%…韓 당분간 100%
- 톤캬, 현대백화점 판교점 ‘팝업스토어’ 오픈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박준형(녹색경제신문 기자)씨 조부상
- 2금융당국 '국정자원 화재' 긴급회의…"일부 금융서비스 차질"
- 3펫코노미 시대, 관광의 새로운 해답은 ‘반려동물 동반여행’
- 4정부 "국정자원 화재로 정부 업무시스템 647개 가동 중단"
- 5기재차관, 위기상황대응본부 긴급소집…e나라도움 등 피해 점검
- 6美대법원, 트럼프 '국제원조예산 5.6조원 동결' 허용
- 7하반기 은행, 건전성 시험대…부실채권 시장이 관건
- 8"현지 업체 반응 뜨거워"…NC AI, 도쿄게임쇼 참가
- 9정부 내부 업무망 '온나라시스템' 마비…"접속 불가"
- 10WSJ "美 자동차 산업, 경제에 경고 신호 보내"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