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N마감시황]‘누’ 변이 바이러스 증시 하락 부채질…코스피 1.47%↓

[서울경제TV=서정덕기자] 국내 증시가 남아프리카 지역에서 발생한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 ‘누’로 인한 우려가 커지며 하락했다. 기관은 4거래일 연속 매도했고, 외국인도 장중 매도 전환하며 하락을 부채질했다.
26일 전장 대비 0.24% 하락한 2,973.04p에 개장한 코스피는 기관 매도세에 낙폭을 키웠다. 외국인도 장중 매도 전환하며 낙폭을 늘린 코스피는 전 거래일 대비 1.47% 하락한 2,936.44p에 거래를 마쳤다.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1,823억원, -3,741억원씩 매도한 가운데 개인이 4,925억원 순매수했다.
이날(26일) 코스피 시장에서 105개 종목이 상승했고 799개 종목이 내렸다. 대형주(-1.53%)와 중형주(-1.88%), 소형주(-2.27%) 모두 낙폭이 컸다.
업종별로 의약품(3.21%), 의료정밀(5.71%), 통신업(0.03%) 정도만 올랐고, 비금속광물(-2.56%), 금융업(-1.36%), 종이목재(-1.03%), 음식료(-1.57%), 화학(-2.69%), 섬유의복(-2.56%), 전기가스업(-1.21%), 철강금속(-1.07%), 기계(-1.98%), 전기전자(-1.69%), 운수장비(-2.40%), 운수창고(-2.71%) 등 대다수 업종이 하락했다.
시가총액 상위 종목 가운데 삼성바이오로직스(2.72%)만이 오른 가운데 삼성전자(-1.90%), SK하이닉스(-1.70%), NAVER(-1.89%), 카카오(-1.95%), LG화학(-2.44%), 삼성SDI(-0.28%), 현대차(-2.14%), 기아(-2.18%) 등 거의 모든 종목이 내렸다.
같은 날(26일) 코스닥도 전 거래일 대비 0.96% 하며 1,005.89p에 장을 마감했다. 기관(108)과 외국인(1,452)이 매수한 가운데 개인(-1,283)이 매도했다.
시가총액 상위 종목 가운데 엘앤에프(-0.43%), SK머티리얼즈(-2.45%), 에이치엘비(-3.49%) 등이 내렸고, 셀트리온헬스케어(1.43%), 에코프로비엠(0.63%), 펄어비스(2.78%), 카카오게임즈(1.29%), 위메이드(2.84%), 셀트리온제약(2.53%), 씨젠(17.10%) 등이 상승 마감에 성공했다.
코로나19 국내 확진자가 4,000명을 넘어서는 상황 속 ‘누’ 변이 바이러스 우려까지 더해지며 씨젠(17.10%), 랩지노믹스(24.60%), 휴마시스(8.45%) 등 진단키트 관련주들이 일제히 강세를 보였다.
한편, 금일 서울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 대비 3.10원 오른 1,193.30원에 거래를 마감했다. /smileduck29@sedail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퇴출 기조 강화되는데…상폐 심사받는 코스닥社 잇따라
- '불장'에 나타난 FOMO…개미 빚투 역대 최대 규모
- 4대 금융지주, '주주환원율 50% 시대' 문턱에…실적은 정점, 지속성은 과제
- 미국, 2일 서머타임 해제…한국과 시차 1시간 더 벌어진다
- 비트코인 '업토버' 끝났다…7년만에 첫 '10월 월간 하락'
- 외국인 환전업자 10명 중 9명 중국인…위안화 환전은 2%
- 사망보험금, 생전 연금처럼 받는다…유동화 본격 시행
- 대출 규제에 카드론 재미 시들…카드업계 '불황 터널'
- '5조 클럽·최대 이익'… KB·우리금융 함박웃음
- NH농협금융, 3분기 누적 순익 2조2599억원…증권↑은행·보험↓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미중 무역합의 타결…한화오션 美 자회사 제재 해제 가능성
- 2일론 머스크 “연내 플라잉카 공개할 수도”
- 3한화오션, 470억 손배소 전격 취하…3년 만에 노사 갈등 봉합
- 4내주 9639가구 공급…"수도권 대단지 신규 공급"
- 5"소재에 혁신"…올겨울 따뜻함 결정하는 '기술' 경쟁 본격화
- 6퇴출 기조 강화되는데…상폐 심사받는 코스닥社 잇따라
- 7AI 확산, 청년 고용에 타격…노출 높은 업종일수록 감소 뚜렷
- 8항공사들 ‘증편 경쟁’에 지연·결항 속출…승객 불만 폭주
- 9'불장'에 나타난 FOMO…개미 빚투 역대 최대 규모
- 10국제 금값, 온스당 3997달러…미중 불확실성에 조정 국면 지속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