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터스, 코넥스 상장사 ‘무진메디’ 인수...2대 주주 올라
[서울경제TV=배요한기자] 국내 최대 유효성 비임상 CRO 기업 노터스가 바이오기업 투자를 통해 항암 신약개발부터 유전자치료까지 사업영역 확대에 나선다.
10일 증권업계에 따르면 노터스는 지난 8일 공시를 통해 유전자 편집기술과 약물전달시스템을 활용, 대장암ㆍ췌장암 치료제와 탈모치료제 등을 개발중인 코넥스 상장사 ‘무진메디’의 주식 88만9,420주를 블록딜 형태로 매입해 지분 10.5%를 확보했다. 이번 투자를 통해 노터스는 무진메디의 2대주주로 올라서게 된다.
회사 관계자는 "무진메디의 자체적인 파이프라인의 발전가능성도 높지만 자사가 관계하고 있는 바이오벤처들의 우수한 물질과 조합한 신규파이프라인 확보 가능성에 주목해서 투자의사 결정을 했다”며 “역량높은 다양한 기업에 투자하며 사업성을 높여왔던 노터스는 이제 HLB그룹의 바이오 생태계에도 편입된 만큼 더 큰 시너지와 협업구조 만들어 갈 것"이라고 말했다.
2016년 설립된 무진메디는 지질나노입자(LNP)를 전달체로 유전자 기반 약물을 체내에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약물전달시스템(DDS)에 특화된 기업이다.
유전자 기술의 빠른 발전으로 코로나19백신 등 mRNA를 활용한 백신과 치료제가 활발히 개발되고 있지만 깨지기 쉬운 mRNA 등 유전자의 구조 탓에 온전한 형태로 체내에 전달할 수 있는 약물전달 기술력이 크게 각광받고 있어, 노터스는 무진메디의 성장 잠재력을 매우 높게 평가하고 있다.
무진메디는 현재 ‘가이드RNA’를 활용, 암에 특이적인 돌연변이 유전자를 찾아 편집해 항암제의 내성을 극복하고 약효를 높여주는 기전으로 신약을 개발하고 있다. 해당 기술을 활용해 대장암, 췌장암 치료제 및 도포형 남성형 탈모 치료제를 개발하고 있으며, 올해 LNP-유전자 편집기술에 기반한 의약품 생산을 위한 GMP 공정 설비 구축도 완료할 계획이다.
이처럼 노터스는 유망한 바이오테크를 발굴하고 육성하는 전략을 통해 꾸준히 기업가치를 높여왔다. 국내 최초로 개발된 인공지능(AI) 딥러닝 플랫폼 ‘루시넷’을 통해 신약개발 초기 유효물질 발굴부터 신약개발의 전반적인 과정을 시뮬레이션 할 수 있는 신약개발 기업 ‘파미노젠’에 투자하기도 했다.
회사 측은 "정부가 최근 산업용 대마의 대규모 재배 단지 조성을 검토하고 있는 가운데, 파미노젠이 작년 식약처로부터 ‘헴프’(대마종자) 연구를 위한 원료물질 취급승인을 받은 바 있어 신약개발과 원료물질 산업화 측면에서 최근 크게 각광받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피부감염증 치료제, 혈당기 등 각종 동물 전용 의약품과 의료기기 유통기업이나 나노입자 기반 항암제 개발기업 등 노터스가 초기에 투자한 기업들이 성과를 내고 있다"고 덧붙였다.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Tag
관련뉴스
- 4대 금융지주, '주주환원율 50% 시대' 문턱에…실적은 정점, 지속성은 과제
- 미국, 2일 서머타임 해제…한국과 시차 1시간 더 벌어진다
- 비트코인 '업토버' 끝났다…7년만에 첫 '10월 월간 하락'
- 외국인 환전업자 10명 중 9명 중국인…위안화 환전은 2%
- 사망보험금, 생전 연금처럼 받는다…유동화 본격 시행
- 대출 규제에 카드론 재미 시들…카드업계 '불황 터널'
- '5조 클럽·최대 이익'… KB·우리금융 함박웃음
- NH농협금융, 3분기 누적 순익 2조2599억원…증권↑은행·보험↓
- KBI그룹, 라온 이어 상상인저축은행 품는다…1107억원에 지분 90% 인수
- KB국민은행, 한국-인도네시아간 QR결제서비스 최초 시연 성공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국제 금값, 온스당 3997달러…미중 불확실성에 조정 국면 지속
- 2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복구율 92%…행정시스템 대부분 정상화
- 3韓中, 통화스와프·FTA·범죄 공조 등 협력 합의…‘실질 협력’ 강화
- 4서울시, 한강버스 시민 탑승 운항 재개…첫날 3000여명 이용
- 5필리핀 대통령, 한화오션과 잠수함 협력 논의
- 6늦가을 미술관 울려 퍼진 ‘명화와 클래식 선율’
- 7미스코리아 '美'에 해남 '味'를 더하다…해남미남축제, '515 김치 비빔'으로 축제 분위기 '후끈'
- 8김한종 장성군수 "장성군이 명실상부한 역사·문화·교육 메카로 우뚝"
- 9공영민 고흥군수 "군민 참여와 화합이 고흥발전 원동력"
- 10해수부, “후쿠시마 오염수 투명 공개·국제 감시 필요”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