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 상식] 재발없는 코골이 치료, 체계적인 수면다원검사 필요

코골이를 단순 잠버릇으로 판단해 치료를 미루는 사례가 많다. 하지만 중요한 것은 코골이가 엄연히 수면장애 증상의 하나라는 점이다.
잠을 자는 도중 올바른 호흡을 방해해 수면의 질을 저하시키며 많은 경우에 수면무호흡증을 동반하여 수면 중 호흡의 불규칙한 상태를 초래하여 숙면을 방해하는 것이 코골이의 특징이다.
문제는 코골이를 치료했음에도 불구하고 이내 재발하여 스트레스를 받는 이들이 많다는 점이다. 코골이 치료 후 재발하는 원인을 하나로 정의할 수는 없다. 분명한 점은 코골이 치료에 있어 정밀 검사를 통해 정확한 진단과 최선의 치료방법을 선택해야 한다는 것이다.
코골이 검사의 핵심은 수면 중 호흡이 얼마나 원활하게 이뤄지는지 여부를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호흡이 이루어지는 상부기도의 구조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져야 하며, 1시간 동안의 수면 시간 동안 호흡저하 지수, 즉 'AHI(Apnea-hypnea index)' 수치를 객관화하여 측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AHI’란 수면 시간 당 무호흡, 저호흡을 합한 지수를 말한다. ‘AHI’ 수치 측정은 수면다원검사 결과로 파악할 수 있다. 검사 결과 ‘AHI’가 5 미만이라면 정상이라고 진단할 수 있다. 반면 ‘AHI’ 5~15 미만은 경증, ‘AHI’ 15~30은 중등도로 정의한다. ‘AHI’ 수치가 30을 넘어가면 중증의 코골이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치료 전과 후의 ‘AHI’ 지수를 비교하여 근원 치료가 이뤄졌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코골이 개선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1시간 동안의 수면 시간 동안 무호흡, 저호흡, 호흡하려는 각성 반응을 모두 합해 측정한 지수인 'RDI(Respiratory Distress Index)' 지수 역시 중요한 판단 기준이 된다.
‘AHI’, ’RDI’ 측정을 위해 시행되는 수면다원검사는 수면 중 발생하는 대부분의 문제들을 파악할 수 있는 검사 방법이다. 특히 뇌파부터 안구의 움직임, 호흡곡선, 호흡노력, 심전도, 산소포화도, 다리의 움직임에 이르기까지 수면 시 일어날 수 있는 신체 모든 반응이 실시간으로 한 화면에 나타나 진단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정의준 기자 firstay@sedaily.com
도움말 : 류인용 영종맑은하늘이비인후과 원장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영아에게 치명적인 ‘RSV’…예방 항체주사 접종 시작
- 서울성모병원, 환자 중심 의료 AI 플랫폼 ‘닥터앤서 3.0’ 운영 주관
- 명절 후유증 걱정된다면? 평소보다 30% 덜 먹고, 더 움직이기
- 노이즈 캔슬링 이어폰, 청력 보호에 ‘집중력’ 높여
- 손가락 붙은 채 태어난 필리핀 교사, 강남세브란스병원서 초청 치료
- 뚱뚱男 점점 많아져…절반이 '비만 상태'
- 고려대안산병원 배재현 교수, ‘로봇 방광질루 공기주입술’ 생중계…8개국에 노하우 전수
- 자생한방병원, 100억 비자금 조성 사실무근…법적 대응 예고
- 50억 기부금으로...세브란스병원, ‘민윤기치료센터’ 오픈
- 악성도 높은 담도암…진행 늦추는 항암요법 확인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尹부부, 구치소서 맞는 추석… "특식 없이 실외 운동 시간 제공"
- 2이재명 대통령, 국정 지지율 53.5%…4주 만에 반등
- 3산업장관, 방미 귀국…"한국 외환시장 민감성 상당한 공감대"
- 4서울시, 취약 어르신 3만5000명에 추석 특식 제공
- 5작년 추석연휴 휴게소서 1인 1만5000원 썼다
- 6OPEC+, 11월 소폭증산 합의…공급과잉 우려 완화
- 7촉법소년 , 2년 간 2만명 넘어…"30% 가까이 늘어"
- 8추석 차례상 비용 20~30만원대…"작년보다 1% 낮아"
- 9K-헤어케어 브랜드 트리셀, 美 코스트코 오프라인 매장 전격 런칭
- 10올해 공항 내 속도위반 144건…전년比 2배 상승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