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삼으로 피부 관리”…화장품 신물질 개발 경쟁

[앵커]
홍삼 성분을 넣어 피부 유익균 생장을 촉진시키는 화장품, 달팽이 추출물이 들어간 마스크팩, 갯벌 진흙으로 만든 화장품 등 특화물질을 활용한 제품이 속속 개발되고 있습니다. 마스크에서 자유로운 시대가 오면 이 같은 특화 제품 소비가 늘어날 것이란 전망도 나오는데요. 서지은 기자입니다.
[기자]
홍삼조성물로 유해한 미생물 증식을 억제하는 연구가 한창입니다.
피부 유해균 생장을 억제하고 유익균 생장만 선택적으로 촉진 시키는 물질로 화장품을 만드는 겁니다.
최근 KGC인삼공사와 고려대 약학대학은 피부 마이크로바이옴을 개선시켜주는 홍삼조성물을 개발했다고 밝혔습니다.
인삼공사에 따르면 이 홍삼조성물을 발랐더니 유익균은 늘고, 유해균은 감소하는 결과가 나타났습니다.
[싱크] 나우석/ KGC인삼공사 동인비 화장품사업센터장
“피부 유익균만 선택적으로 증식시킨다는 점을 인체 적용 시험을 통해 확인한 것으로 동인비 자생원액에센스와 자생크림 등에 적용했으며, 피부 스스로의 자생능력을 도울 것으로 기대됩니다”
머드 축제로 유명한 보령시는 청정 갯벌에서 채취한 천연 진흙을 정제해 화장품을 만들고 있습니다.
아토피 피부염 치유와 노화방지, 노폐물 제거 등 피부 미용 제품에 활용하고 있는 겁니다.
화장품 브랜드 더샘은 달팽이 추출물이 들어간 안티에이징 마스크팩과 화장품을 내놨습니다.
피부재생과 잔주름 개선 등에서 효과가 기대되는 달팽이 점액을 화장품에 접목한 겁니다.
업계에선 ‘노 마스크’ 시대가 다가올수록 맨 얼굴을 가꾸려는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관측하고 있습니다.
소비자 선택을 받기 위한 특화제품 경쟁이 더욱 치열해지는 모습입니다.
서울경제TV 서지은입니다. /writer@sedaily.com
[영상편집 강현규]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위클리비즈] 저작권 논란에도…챗GPT가 불러온 ‘지브리 놀이’
- 벼랑 끝 홈플러스…기업회생·검찰 수사 속 ‘대책 실종’
- “키움서 주식 안한다”…키움증권 연이틀 먹통에 ‘부글부글’
- 한숨 돌린 줄 알았는데…트럼프 “의약품도 관세 검토 중”
- [尹파면] 대선 국면 돌입…짙어진 부동산 시장 관망세
- [尹파면] 탄핵에 반색하는 플랫폼...카카오 숨통 트이나
- 필립스옥션, 런던서 '뉴나우 근현대 미술 경매' 개최
- '자본시장법 위반' 김상철 한컴그룹 회장 1심 벌금형
- 소상공인연합회 "헌재 결정 존중…경제 살리기 매진하길"
- 한국AX마케팅협회, ‘코리아 나라장터 엑스포 2025’ 참여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