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플러스]‘고개 숙인 카카오’ 남궁훈 대표 사퇴

경제·산업 입력 2022-10-19 20:50:04 수정 2022-10-19 20:50:04 김수빈 기자 0개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서울경제TV=김수빈기자]
 

[앵커]

카카오가 지난 주말 발생했던 대규모 먹통 사태와 관련해 결국 고개를 숙였습니다. 남궁훈·홍은택 각자대표는 오늘(19일) 사고 발생 나흘 만에 대국민 사과에 나섰는데요. 경제산업부 김수빈 기자와 얘기 나눠보겠습니다, 안녕하세요.


[기자]

네, 안녕하세요.


[앵커]

오늘 카카오가 대국민사과를 했죠. 지난 주말 화재사고로 카카오 이용자들이 많은 불편을 겪었는데요. 기자회견엔 어떤 내용이 담겼나요?


[기자]

네, 우선 남궁훈·홍은택 각자대표는 불편을 겪은 이용자들에게 고개 숙여 사과했습니다.


홍은택 대표는 "카카오톡이 공공성을 띠는 서비스가 됐지만 그에 부합하는 책무를 다하지 못했다"며 "이번 사고는 저희가 추구해야 할 가장 기본적인 가치를 잊었던 것 아닌가 반성하는 계기가 됐다"고 말했습니다.


책임을 통감한 남궁훈 카카오 대표는 이날 사퇴했습니다. 이로써 당분간 카카오는 홍은택 대표 단독 체제로 운영됩니다.

남궁훈 대표는 "카카오 서비스를 책임지는 대표로서 어느 때보다 참담한 심정과 막중한 책임을 통감한다"며 "쇄신 의지를 다지고자 대표의사직을 내려놓고자 한다"고 말했습니다.

남 대표는 이제 비상대책위 재난대책소위를 맡아 사고 재발 방지 대책을 세울 예정입니다.


한편, 오늘 기자회견 자리에는 김범수 의장은 보이지 않았습니다. 경영에 관여하고 있지 않고 있기 때문에 직접적 책임이 없다는 것으로 풀이되는데요. 김 의장은 오는 24일 국정감사에서 먹통사태 입장을 밝힐 것으로 보입니다.


[앵커]

이번에 여실히 드러난 점이 바로 위기 대응 능력이었는데요. 앞으로 이런 사태를 막기 위한 방안도 내놨나요?


[기자]

카카오톡만 해도 4,800만명에 달하는 이용자를 가지고 있는 대국민 서비스인데요. 카톡은 장애 발생 약 10시간 만에 일부 기능이 복구됐고, 다른 주요 서비스들도 90시간 만에 정상화 수순에 접어든 점이 크게 지적 받았습니다.


카카오는 이렇게까지 복구가 지연된 데 대해 "개발자들의 주요 작업 도구 및 운영도구가 이중화되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는데요. 판교 데이터센터 운영이 안정화되는 대로 이중화를 시작하겠다고 덧붙였습니다.


판교 데이터 센터는 사고 발생 5일 만에 전력 공급을 100% 완료하게 됐는데요. 일부 기능 오류를 제외하고 이르면 오늘 안으로 모든 서비스를 원상 복구할 것으로 보입니다.


이번 일을 계기로 카카오는 자체 데이터센터를 비롯한 인프라 투자를 확대하겠다고 했습니다.

그러니까, 한 데이터 센터가 작동을 멈추더라도 원활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수준의 인프라를 구축하겠다는 겁니다.

현재 카카오는 4,600억원을 투입해 내년 중 안산에 자체 데이터 센터를 완공할 예정인데요. 시흥에서도 2024년 데이터센터 착공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특히 이번 사고를 교훈 삼아 방화, 내진과 같은 방진시설을 더 안전하게 구축하겠다고 덧붙였습니다.


[앵커]

보상안에 대해서도 말들이 나오고 있습니다. 이날 보상안이 나왔나요?


[기자]

그렇습니다. 카카오는 보상 의지를 강하게 밝혔는데요.


SK C&C와의 책임 소재 다루기 전에 먼저 이용자들에게 신속히 보상하겠다고 말했습니다.


그동안 고객센터 등을 통해 피해 신고 접수를 받아온 카카오는 오늘부터 피해를 입은 이용자들을 위한 별도의 신고 채널을 앞으로 2주 간 운영합니다.

신고받은 내용을 기반으로 보상 대상이나 범위 등에 대한 논의가 이뤄질 전망인데요. 유료 서비스 이용자 뿐 아니라 이번 장애로 피해를 입은 이용자와 파트너,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에 대한 보상을 검토하는 중입니다.


홍 대표는 “멜론 구독료 보상 등 직접 보상은 명확해서 회사별로 진행하고 있다"며 "무료서비스 이용자 보상은 선례가 없고 기준도 없어서 어떤 사례가 있는지 다양한 사례를 보고 판단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앵커]

업계에선 플랫폼 규제를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와 '자율에 맞기자'란 목소리가 여전히 엇갈리고 있습니다. 분위기 짚어주시죠.


[기자]

네, 이번 카카오 먹통사태를 계기로 플랫폼 규제가 한층 강화될 것으로 보이는데요.


당정은 카카오 등 부가사업자에게도 데이터 이중화 조치 등을 의무화하기로 했고요.


뿐만 아니라 민간 데이터센터를 국가재난관리 시설로 지정하는 방송통신발전기본법 개정안도 우선적으로 검토한다는 방침입니다.


공정거래위원회는 자율규제 기조를 유지하면서 플랫폼의 금지행위를 구체적으로 규정짓기로 했습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이번 재난 사태가 플랫폼의 독과점 규제로 가는 흐름이 옳지 않다고 주장합니다. 위기관리 시스템을 갖추지 못한 것이 사태의 원인이란 겁니다.


한 전문가는 "획일적인 플랫폼 규제가 아니라 카카오의 대안 서비스가 나올 수 있도록 시장 경쟁을 촉진하는 게 공정위가 할 일"이라고 꼬집었습니다.

그러니까 과도한 규제가 국내 온라인 플랫폼 시장을 위축시킬 수 있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는 겁니다.


더군다나 윤석열 정부는 플랫폼에 대한 자율규제를 강조해왔기 때문에 정책 방향과 맞지 않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전문가들은 플랫폼 규제에 있어서 신중을 기해야 한다고 조언하고 있습니다.


[앵커]

네, 잘들었습니다.


[기자]

감사합니다. /kimsoup@sedaily.com


[영상취재 오성재 / 영상편집 이한얼]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공지사항

더보기 +

이 시각 이후 방송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