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전 필요에 “카드 결제 다음 달로” …연체 공포 확산

[서울경제TV=김수빈기자]
[앵커]
10%만 결제하면 나머지 카드값을 다음달로 미룰 수 있는 리볼빙 서비스. 신용카드 연체 방지하기 위한 만든 이 서비스가 오히려 부채와 연체규모를 키우고 있다는 우려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카드론이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DSR에 포함되면서 서민들이 리볼빙 서비스로 몰린 것으로 풀이되는데요. 보도에 김수빈 기자입니다.
[기자]
사실상 신용대출에 가까운 '리볼빙'을 이용하는 서민들이 큰 폭으로 늘었습니다.
여신금융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말 7개 전업카드사의 리볼빙 이월 잔액은 7조3,574억원으로 집계됐습니다. 이는 1년 만에 19.4%(1조1797억원) 증가한 수칩니다.
리볼빙은 카드값 10%만 내면 나머지 90%는 다음달로 미룰 수 있어 부채규모는 눈덩이처럼 커질 수 밖에 없는 구조 입니다. 여기에 이자율은 평균 19%에 달해 법정 최고금리(20%)에 육박합니다.
마찬가지로 이자율이 높고 신용위험이 큰 현금서비스도 지난해 60조원에 육박했습니다. 2019년 이후 최대칩니다.
리볼빙과 현금서비스는 차주들의 대표적인 '최후의 보루'로 꼽힙니다. 두 서비스 모두 대출 기한이 길지 않은 데다 법정 최고금리를 위협할 정도로 고금리를 물려 이자 부담이 크기 때문입니다.
다만 카드론 잔액은 감소세를 보였는데, 이는 DSR 규제로 인한 풍선효과가 작용했다는 분석입니다.
문제는 카드 대출의 연체율이 늘어나고 있다는 겁니다.
한국은행 집계를 보면 국내 7개 전업 카드사의 지난해 말 기준 총 대출 잔액은 전년 대비 2조 넘게 증가한 47조4,355억원을 기록했습니다.
특히 연체율은 지난해 11월 1.89%로, 전년 동기 대비 0.11%포인트 상승했습니다.
카드대출을 이용하는 취약차주들은 주로 다중채무자일 확률이 높습니다. 고금리인 탓에 제때 갚기 힘든 악순환이 발생해 카드사의 부실 가능성을 키울 수밖에 없는 구조입니다.
이 같은 상황에 카드사들은 건전성 관리에 더 힘을 줄 것으로 보입니다. 신규 대출 규모를 줄이며 본격 리스크 관리에 나선 가운데 취약차주들의 대출 문턱이 더 높아질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옵니다. 서울경제TV 김수빈입니다. /kimsoup@sedaily.com
[영상편집 ㅇㅇㅇ]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농협중앙회, 종합경영분석회의 개최…"비상경영대책 이행" 당부
- 우리금융그룹, 상반기 순익 1조5513억…전년比 11.6%↓
- NH농협손보 손해율 비상…高정책보험 '부메랑'
- 글로벌 사업 날개 단 JB금융…최대 실적 속 인니 진출
- 비단, 블록체인 실물자산 누적 거래액 1조2000억원 돌파
- 윤희성 수출입은행장 퇴임…"3년간 韓 경제영토 넓히려 노력"
- 우리투자증권, 상반기 영업이익 149억원…전년 比 189.9% 증가
- 하나금융그룹, 상반기 순익 '역대 최대' 2조3010억원
- 웅진프리드라이프, 키움히어로즈 파트너데이 성료
- 신한금융그룹, 상반기 순익 3조 시대 열었다…역대 최대 실적 달성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