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견기업 77% “中企 졸업 후 지원 줄고 규제 늘었다”

[서울경제TV=박세아 기자] 대한상공회의소는 기업규모가 커질수록 정부지원은 줄고 조세부담과 규제는 늘어 기업이 성장을 꺼리는 이른바 ‘피터팬증후군’이 여전한 것으로 조사됐다고 26일 밝혔다.
대한상공회의소가 최근 10년 내 중소기업을 졸업한 국내 중견기업 300개사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응답기업의 77%는 중소기업 졸업 후 지원축소와 규제강화 등 새롭게 적용받게 된 정책변화에 대해 체감하고 있거나 체감한 적이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들 기업에게 ‘중소기업으로서 누릴 수 있는 정책 수혜를 위해 중소기업으로의 회귀를 생각해본 적이 있는지’를 물은 결과, 응답기업의 30.7%가 ‘그렇다’고 답했다.
중소기업 졸업 후 체감하는 정책 변화 중 가장 아쉽고 부담스러운 변화는 ‘조세부담 증가’(51.5%)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중소기업 정책금융 축소’(25.5%), ‘수‧위탁거래 규제 등 각종 규제 부담 증가’(16%) 등을 차례로 꼽았다.
대한상의 관계자는 “국내 법인세 체계는 4단계 누진세 구조인데다가 기업 규모에 따라 차등을 두는 조세 제도가 많아 중견기업이 되면 조세부담이 급격히 늘 수밖에 없다”며 “성장사다리가 원활히 작동하게끔 인센티브 구조를 점검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실제로, ‘피터팬증후군 극복과 성장사다리 작동을 위해 가장 필요한 정책이 무엇인지’를 묻는 질문에 가장 많은 기업들이 ‘조세부담 증가폭 완화’(47%)를 꼽았다. 이어 ‘중소기업 정책의 합리적 개편(연명·보호중심→성장·생산성 중심)’(23.4%), ‘기업규모별 차별규제 개선’(21.3%), ‘중소기업 졸업유예기간 확대’(8.3%)를 차례로 답했다.
한편 디지털전환·ESG·공급망재편 등의 산업트렌드 변화는 중견기업들에게 여전히 기회보다는 부담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산업트렌드 변화를 ‘부담’으로 인식하는 기업이 과반(56%)으로, ‘부담이라고 생각하며 적극 대응 중’ 21%, ‘부담이라고 생각하지만 대응 않음’ 35%는 ‘기회’로 생각하는 기업의 응답률(44%)을 상회했다.
한편, 법인설립부터 중소기업 졸업까지 걸린 기간은 평균 15년으로 집계됐다. ‘중소기업 졸업 후 더 좋아진 점’에 대해서는 ‘기업위상 제고’(57.3%), ‘외부자금 조달 용이’(11.7%), ‘우수인력 채용 용이’(7.7%), ‘거래 협상력 제고’(2%) 순으로 응답했다. 반면 ‘좋아진 점이 없다’는 응답도 20%에 달했다.
‘중소기업 졸업 후의 장단점을 종합적으로 고려했을 때 어느 쪽이 큰지’에 대한 물음에는 ‘차이 없다’(48.7%)는 답변이 가장 많았고, ‘단점이 크다’는 응답이 38.7%로 ‘장점이 크다’(12.6%)는 답변을 웃돌았다.
우태희 대한상의 상근부회장은 “성장사다리 구축은 미래투자와 ESG‧탄소중립 등 국가경제의 지속성장을 위한 필요충분조건”이라며 “정부가 최근 ‘중견기업 성장촉진 전략’ 발표를 통해 공언한 중견기업의 수출, R&D, 신사업 투자 지원 계획이 차질 없이 이행된다면 성장사다리 작동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다만, 중소‧중견기업이 가장 부담스러워하는 조세 및 규제 부담의 완화를 위한 노력들이 계속적으로 이어지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psa@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제약업계, 비대위 가동… "약가 인하, R&D 위축·수입약 의존 심화시킬 것"
- 임성기재단, 가톨릭대 의대 조미라 교수에 희귀질환 연구비 6억원 지원
- 정진호이펙트, 한부모 가정 돕는 ‘이엉바자회’ 참석
- LS MnM 구동휘, 경영 시험대…2차전지 신사업 ‘불투명’
- “경고등 켜졌는데 계속 비행?”…이스타항공 안전 논란
- 기아, 국내 최초 일반 도로 원격 운전 실증 시연 성공
- “괜히 인수했나”…GS리테일, 요기요 고전에 ‘본업 강화’
- ‘논란 IP’ 또 발목…크래프톤, AOD 서비스 종료
- 롯데건설, 오일근號 출범…재무건전성 회복 ‘사활’
- ‘테슬라 FSD·GM 크루즈’ 韓 상륙…현대차 어디까지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BNK금융 임추위, 2차 후보군 빈대인·방성빈·김성주·안감찬 4명 압축
- 2경기도, '젠더폭력 근절' 총력 대응
- 3이천시, 부발 응암리~증포동~백사IC~잠실역 광역버스 신설 확정
- 4안성시, ‘찾아가는 공동주택 관리서비스’ 결과 보고
- 5평택시, 2025년 항만발전자문위원회 개최
- 6화성특례시, '(가칭)솔빛나루역 신설 사업' 행안부 통과
- 7아산시, 시민과 함께 복지사각 해소
- 8인천시, 해양쓰레기 정화 국비 120억…‘서해5도 집중 정비’
- 9최대호 안양시장, ‘청계통합정수장 고도정수처리시설’ 현장점검
- 10안산시, WHO 고령친화도시 인증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