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특례시, 개발제한구역 단계적 해제로 도시발전 추진
‘성장 제한구역’으로 변질한 도심 중앙 개발제한구역 단계적 해제

[서울경제TV 부산=김정옥 기자] 창원특례시는 ‘개발제한구역(GB‧그린벨트)의 단계적 해제’ 추진으로 도시가 발전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해 나가겠다고 31일 밝혔다.
창원시의 개발제한구역은 총 248.4㎢로 전체 행정구역(748.05㎢) 면적의 33%를 차지한다.
1999년 7개 중소도시권 개발제한구역은 전면 해제됐으나 창원권(김해시‧함안군 일부)만 유지되고 있다.
수도권과 광역시를 제외한 기초지방자치단체 중에서는 유일하게 창원만 개발제한구역이 유지되고 있어 불합리한 차별을 겪고 있다.
시는 2010년 창원·마산·진해가 하나의 도시로 통합됨에 따라 통합 전에는 도시 외곽에 있던 개발제한구역이 통합 이후에는 도시 중심부에 자리하는 기형적인 도시 구조를 갖추게 돼 도시공간이 단절된 형태다.
주력 산업인 방위·원자력·수소 산업의 발전을 위한 공단 부지가 필요하지만, 개발제한구역에 묶여 국책사업과 지역 현안 사업 추진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제한구역의 단계적 해제 추진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먼저 혁신 성장을 위한 주력 산업부지의 개발제한구역을 우선 해제하여 국가 전략사업을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또 시·도지사의 개발제한구역 해제 권한(30만㎡ 이하→100만㎡ 미만 개정 예정)을 50만 이상 대도시로 확대하는 것을 시작으로, 창원권 개발제한구역이 전면해제될 수 있도록 입법화 건의를 지속할 계획이다.
그동안 시는 개발제한구역의 단계적 해제를 위해 경남도·창원시의회 및 지역 국회의원과 함께 청와대와 국회, 국토부 등에 여러 차례 규제개선을 건의했다.
그 결과 국토교통부의 2023년 주요 업무 추진계획에 비수도권 지자체의 개발제한구역 해제 권한 확대와 더불어 반도체·방산·원전산업 등 국가적으로 중요한 전략사업을 지역에서 추진할 경우 개발제한구역 해제 총량에서 제외하는 내용이 포함되는 등 소기의 성과를 거둔 바 있다.
문상식 도시정책국장은 “창원특례시는 3개 도시 통합으로 개발제한구역이 도심 중앙에 위치해 성장 제한구역으로 변질됐다”며 “최종적으로 개발제한구역이 전면해제 될 수 있도록 행정력을 집중하겠다”라고 말했다. /kjo571003.naver.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Tag

관련뉴스
- 5⋅18 전야제 이모저모 "'시민과 함께 하는 행사"
- 5⋅18 광주 몰려드는 정치권⋅⋅⋅호남민심 잡기‘총력’
- [사진] 제45주년 5⋅18민주항쟁 전야제⋅⋅⋅'시민중심 행사'
- 윤석열, 국민의힘 탈당…"김문수에 힘 모아달라"
- 이재명, 광주·전남 유세…5·18 전야제 참석
- 국민의힘, '안전 공약' 발표…“촉법소년 기준 하향·강력범죄 하한 상향”
- [심우일의 인생한편] 정의의 얼굴을 한 권력, 그 민낯을 향해
- [문화 4人4色 | 유기준] 웃는 토끼, 그리고 송지호 작가의 행복한 그림
- 기아 광주공장, 40대 노동자 끼임사고 사망
- iM금융그룹, 창립 14주년 및 iM뱅크 ‘시중은행 전환’ 1주년 기념식 개최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기아 EV9, 글로벌 자동차상 연이어 수상…전기 SUV 경쟁력 부각
- 2삼성물산, 현대엘리베이터와 초고층 건물 적용 모듈러 승강기 공동개발
- 3GS샵, 530억 매출 거둔 ‘중소기업 판로지원 사업’…참여기업 공개모집
- 4하나금융 ‘하나 파워 온 혁신 기업 인턴십’ 개최…고용 취약계층‧혁신기업 연결
- 5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확산에 브라질산 닭고기 수입 잇단 중단
- 6식품업계, 내수 침체·고환율에 발목…1분기 실적 ‘쇼크’
- 7장기손해율 가정 논란…메리츠 "왜곡" vs 삼성생명 "정당"
- 8LG엔솔·GM, LMR 배터리 공동 개발…“중국 독주 견제”
- 9헬스장 피해구제 신청 급증…"구독 서비스도 주의 필요"
- 10외국인, 지난달 주식 13.6조원 순매도…역대 최대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