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TS·오징어게임’ 등 한류 열풍에…경제적 효과 37조원 창출
한류 품목 수출증가율 13.7%…총수출 증가율의 2.5배
“기업의 적극적인 한류 콘텐츠 제작 유도 필요”

[서울경제TV=윤혜림기자] 지난 5년간(2017~2021년) 음악, 방송 등 한류 확산으로 수출이 증가하며 유발된 생산액이 총 37조원에 달한다는 분석결과가 나왔다.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한경연)이 10일 ‘한류 확산의 경제적 효과 추정’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한경연은 자체 설계한 통계모형을 통해 한류의 경제적 효과를 분석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18년부터 비영어권 가수 최초로 5년 연속 글로벌 아티스트 차트 TOP 10에 진입한 BTS, 2021년 방영돼 94개국에서 시청률 1위를 기록한 오징어게임 등 글로벌 한류의 열풍으로 한국의 문화적 영향력이 커졌다.
특히 미국 U.SNews·와튼스쿨의 ‘글로벌 문화적 영향력 랭킹’에 따르면, 한국 문화가 국제적으로 미치는 파급력은 2017년 세계 31위(80개국 중)에서 2022년 7위(85개국 중)로 5년 간 24단계 급등했다.
음악·방송 등의 문화콘텐츠 수출이 확대된 것은 물론 한류와 밀접한 화장품, 가공식품 등 소비재 수출 역시 큰 폭으로 상승했다.
같은 기간 한류 품목의 연평균 수출증가율은 13.7%로 국내 전체 수출액의 연평균 증가율 5.4% 대비 약 2.5배 수준이다. 한류 품목의 부문별 수출증가율은 ▲문화콘텐츠 15.7%(음악 11.9%, 방송 11.8% 등) ▲화장품 16.6% ▲가공식품 7.8% 등이다.
이를 통해 발생한 생산액은 소비재 분야에서 30조5,000억원, 문화콘텐츠 분야에서 6조5,000억원 등 총 37조원이었다.
한편, 한류는 일자리 창출에도 크게 기여했다. 최근 5년간 한류 수출 증가에 따른 총 취업 유발 인원은 16만명으로, 지난해 국내 총취업자 수 증가 폭(81만6,000명)의 19.6%에 해당한다.
추광호 한경연 경제정책실장은 “문화콘텐츠 산업에 대한 금융지원 확대와 인프라 확충 등을 통해 기업의 적극적인 한류 콘텐츠 투자 확대를 유도해 한국 문화산업이 글로벌 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밝혔다. /grace_rim@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썸코리아 운영 브랜드 페이퍼어스, ‘디자인코리아 2025’ 참가
- 똘똘한 한 채 선호에 역세권 가치 ‘껑충’…수요층 선점 분주
- “원점에서 다시”… 한화오션, 안전관리 체계 혁신
- 세븐일레븐, 올해 빼빼로데이 매출 120% 증가
- HS효성첨단소재, ‘문화예술후원우수기관’ 신규 인증기관 선정
- BMW 코리아, ‘뉴 X3 30 xDrive M 스포츠 패키지 프로’ 출시
- 현대제철, '2025 레드닷 디자인 어워드' 본상 수상
- 코리아교육그룹, 신규 온라인 강의 플랫폼 ‘블러 스튜디오’ 선공개
- HS효성첨단소재, ‘2025 문화예술후원우수기관’ 신규 인증기관 선정
- 에코비, 아시아 뷰티 박람회 ‘2025 홍콩 코스모프로프’ 참가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가자, 문화관광수도 부산’…정연욱 의원, 정책토론회 성황리 개최
- 2썸코리아 운영 브랜드 페이퍼어스, ‘디자인코리아 2025’ 참가
- 3모아데이타, 삼성서울병원 국제심포지엄서 AI 헬스케어 사례 발표
- 4똘똘한 한 채 선호에 역세권 가치 ‘껑충’…수요층 선점 분주
- 5대진첨단소재 “기술 유출 수사 대주주·법인 관련성 없어”
- 6“원점에서 다시”… 한화오션, 안전관리 체계 혁신
- 7세븐일레븐, 올해 빼빼로데이 매출 120% 증가
- 8HS효성첨단소재, ‘문화예술후원우수기관’ 신규 인증기관 선정
- 9엠젠솔루션, 'AI 화재 진압 솔루션' 탑재 소방 로봇 특허 출원
- 10BMW 코리아, ‘뉴 X3 30 xDrive M 스포츠 패키지 프로’ 출시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