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마을금고 또 '횡령사고'…직원 고객돈 5억원 횡령

[서울경제TV=최재영 기자] 새마을금고에서 또 횡령사고가 터졌다. 지난해 부터 사건사고가 끊이질 않고 있어 내부통제 부실 논란은 더 커질 것으로 보인다.
25일 새마을금고중앙회에 따르면 서울 중구 A새마을금고 부장급 직원B씨는 수년에 걸쳐 고객의 돈을 횡령해오다 최근 적발됐다.
현재까지 파악된 피해규모는 5억원 수준이다. B씨는 고객 명의로 대출을 받거나 예탁금에 돈을 빼돌린 것으로 알라졌다.
이번 사고가 드러난 것은 A새마을금고를 이용하는 고객들이 잘못된 거래내역을 확인하기 위해 문의하면서 발각됐다. 새마을금고중앙회 자체 검사를 통해 횡령사실이 확인됐고 B씨는 직무가 배제된 상태다.
중앙회는 다음달 인사조치와 함께 내부징계, 민형사 법적조치를 병행하기로 헀고 사고금도 회수에 나서기로 했다.
이번 횡령 사고로 피해를 입은 고객은 여러명인 것으로만 파악됐다. 또 횡령액을 회수해 피해금을 변제도 진행 중이다.
이번 횡령사고가 발생한 A새마을금고는 자산규모가 5,000억원 넘는 대형금고다. 이 금고의 이사장은 현재 새마을금고중앙회 핵심인사로 전해진다.
새마을금고는 이번 횡령사고가 터지면서 사실상 내부통제 불능이 아니냐는 논란에 휩싸일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11년간 고객돈 129억원을 횡령한 직원들이 적발돼 재판에 넘겨지기도 했다.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용혜인 기본소득당 의원이 행정안전부로부터 제출 받은 새마을금고 금융사고 전수 현황을 보면, 2017년부터 올해 8월까지 새마을금고 임직원 횡령·배임·사기·알선수재는 95건, 피해액은 643억8,800만원에 달했다.
특히 올해 8월까지 벌써 5건의 횡령이 적발됐고 피해금액 기준으로 횡령이 388억4,900만원(67건)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사기 144억3,100만원(8건), 배임 103억3,800만원(15건), 알선수재 7억7,700만원(5건) 등도 적지 않았다.
새마을금고 내부통제 사고가 끊이질 않으면서 관리감독 권한을 금융당국으로 이관하자는 목소리도 커졌다. 새마을금고는 새마을금고법에 따라 행정안전부로부터 감독을 받는다. 반면 같은 상호금융권인 농협과 신협은 금융당국의 건전성 감독을 받는다.
새마을금고는 올해 7월 대규모 자금이탈(뱅크런) 우려 사태 이후 지배구조 개혁을 위한 경영혁신자문위원회를 가동하고 있다. 다음달 17일 지배구조와 건전성, 감독체계 등 혁신안을 발표할 예정이다. /cjy3@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Tag
관련뉴스
- KS인더스트리 대주주는 동네 학원? 성안에선 'CB 플레이' 논란
- 코스피, 닷새째 오르며 장중 3200 돌파…3년 10개월만
- 네이버페이, 해외QR결제 '럭키드로우' 이벤트 진행
- IBK투자증권 "LG디스플레이 2분기 실적, 예상치 소폭하회 전망"
- '스테이블코인 기대' NHN KCP, 페이코와 시너지 주목
- 새 정부 기조 따라…우리銀, '포용금융 플랫폼' 키운다
- 한은 기준금리 2.5% 동결…"주택 시장 과열 진정시켜야"
- 배당소득 분리과세 이뤄지나…희비 갈리는 증권株
- '부동산 STO 플랫폼' 루센트블록, 첫 부동산 매각 성사
- BNK부산은행·케이뱅크, 하반기 공동대출 상품 출시 예고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대한항공, 2분기 영업익 3990억 원…전년 동기 比 3.5% 감소
- 2여수MBC 이전 추진에 시민단체 반발… "여수시 침묵은 배신"
- 3공영민 고흥군수, 강도 높은 폭염 대응 지시…"낮 시간 야외활동 자제"
- 4중기중앙회, 2026년 적용 최저임금 결정에 "깊은 유감"
- 5삼성중공업, 에버그린에 친환경 선박 'VR 솔루션' 설치
- 6티웨이항공, 청소년 진로 탐색 위한 항공진로체험 교육
- 7'허위학력 저서 기재 의혹' 노형욱 전 장관 무죄
- 8'가족 피서지로 안성맞춤'…장흥군, 수문해수욕장 개장
- 9여수 제조업체 체감경기 '먹구름'…BSI 55.7로 하락
- 10진도군, 진돗개 '방문 진료'로 의료 사각지대 해소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