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 국기연과 유·무인전투기 복합체계 핵심기술 개발 착수
유·무인 복합체계 필수 기술 개발 착수 KAI 총괄
국내 분야별 전문업체 참여
과제 기간 2028년 11월까지 5년

[서울경제TV=김서현 인턴기자] 한국항공우주산업(KAI·Korea Aerospace Industries)이 국방기술진흥연구소와 18일 핵심기술 연구개발 과제 착수회의를 개최했다.
양 기관은 이번 회의에 앞서 지난달 15일 유·무인 전투기 체계를 위한 ‘유인기 협업 임무설계 및 조종사 워크로드 경감기술 개발 협약’을 체결한 바 있다.
KAI는 이번 협약을 통해 유·무인 복합체계와 6세대 전투기에 적용되는 AI 기반의 임무 모듈과 설계기술을 개발하고, 조종사 워크로드 경감을 위한 음성 및 영상 전투상황 인식·통제 시스템을 개발한다. 과제 기간은 2023년 12월부터 2028년 11월까지 5년이다.
과제 총괄은 KAI가 맡았으며, 세부과제는 분야별 전문 기술력을 가진 국내 대표 방산업체들과 소요군이 개발에 참여한다.
AI 기반의 임무 모듈과 설계기술을 개발하는 종합과제는 KAI를 중심으로 항공전자 전문업체와 함께 이뤄진다. AI 기반의 임무 모듈 개발 및 유무인 복합체계의 운용 시나리오를 구성하고, 운용 요구도 도출, 운용개념 및 기반 기술 분석 등을 수행할 계획이다.
또한 음성 및 영상 전투상황 인식·통제 시스템, 음성통신·제어 기술 전문업체와도 협업을 진행한다.
KAI는 빠르게 변화하는 세계적 항공우주기술에 대응하기 위해 다양한 미래형 플랫폼을 개발하고 있으며, 시장 선점을 통한 제2의 성장을 준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미래전장에 적합한 한국형 유·무인 복합체계 구축을 위해 국산헬기 수리온과 무인기 간 상호연동체계를 개발 중이며, 고성능 무인기 기반의 FA-50 미래형 전투체계도 연구 중이다. 이를 기반으로 2030년대에 착수 예정인 무인전투기(UCAV) 체계개발과 고정익, 회전익 유·무인 전투 복합체계 개발을 주도한다는 계획이다.
KAI는 이번 기술개발 협약을 통해 한국형 유·무인 전투 복합체계 개발역량이 한 단계 더 성장할 것으로 보고 있다. 관계자는 “앞으로도 4차산업혁명 기술 기반의 AI 파일럿, 임무 자율화 및 센서융합 기술 등 핵심기술을 자체 개발하겠다"며 "2025년 이후 FA-50 기반의 유·무인 복합체계 기술실증을 통해 차세대 공중 전투체계로 발전시키겠다”고 전했다. /bodo_celeb@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월드클래스기업협회, ‘미국 회사법 실무교육’ 진행
- 신일, 삼성물산 주거플랫폼 ‘홈닉’ 협력 계약
- TYM, '국제농업박람회' 참가…AI∙자율주행 농기계 선봬
- 청라 SK V1, 제3연륙교·7호선 수혜로 ‘서부권 비즈니스 중심축’ 부상
- LG유플러스 해킹 피해 확인…“사이버 침해 정황 없어”
- 다나허코리아, ‘유방암 인식의 달’ 맞이 임직원 대상 캠페인 전개
- 넥슨, '메이플스토리' ‘와일드헌터’ 직업 리마스터 실시
- 넷마블 '킹 오브 파이터 AFK', 스푸키 나이트 이벤트 실시
- 파스쿠찌, 가을 맞이 ‘말차 브라우니’ 출시
- CU, 김천김밥축제 경연 대회 우승작 ‘호두마요 제육김밥’ 출시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NH농협생명, 전국 초등학생 대상 '모두레 경제·금융교육' 운영
- 2월드클래스기업협회, ‘미국 회사법 실무교육’ 진행
- 3신일, 삼성물산 주거플랫폼 ‘홈닉’ 협력 계약
- 4TYM, '국제농업박람회' 참가…AI∙자율주행 농기계 선봬
- 5청라 SK V1, 제3연륙교·7호선 수혜로 ‘서부권 비즈니스 중심축’ 부상
- 6보훈공단, 고객만족 혁신을 위한 CS워크숍 개최 … “최우수 등급 도약 목표”
- 7LG유플러스 해킹 피해 확인…“사이버 침해 정황 없어”
- 8조현수 원주환경청장, 대암산 용늪 습지보호지역 현장방문
- 9강원랜드, 정태영삼 김장나눔 어울림 한마당 개최
- 10다나허코리아, ‘유방암 인식의 달’ 맞이 임직원 대상 캠페인 전개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