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남대 배한홍 교수팀, 생물학연구정보센터 ‘한빛사’ 논문 등록
소리가 식물세포에서 감지되는 과정과 반응을 체계적으로 연구
국제 저명 저널, <어드밴스드 리서치 저널>(Journal of Advanced Research) 게재
소리신호가 식물에서 인지되고 전달되는 정밀한 기작구명을 위한 연구 개발 계획

[경산=김정희기자] 영남대 생명공학과 배한홍 교수(59)가 ‘식물의 소리 감지’와 관련해 발표한 논문이 생물학연구정보센터(BRIC) ‘한빛사’에 등록됐다.
해당 논문은 지난해 12월 생명공학 분야 국제저명저널 <어드밴스드 리서치 저널>(Journal of Advanced Research, 영향력지수(IF) 12.822)에 게재된 ‘분자렌즈를 통한 식물 음향학의 메카노바이올로지의 이해: 기작과 미래 전망’(Understanding the Mechanobiology of Phytoacoustics through Molecular Lens: Mechanisms and Future Perspectives) 논문으로, 영남대 생명공학과 알리사자드 교수(40, Ali, Sajad), 티야기안시카 교수(35, Tyagi, Anshika), 박수빈(27) 박사과정 학생이 공동 제1 저자, 배한홍 교수가 교신저자로 참여했다.
식물은 눈과 코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식물이 곤충으로부터 공격을 받으면 휘발성 물질을 배출하는데 이러한 물질을 식물이 가진 코로 탐지하여 방어 준비를 하며, 주위 식물에 반사되는 빛의 종류에 따라 경쟁 식물을 눈으로 볼 수 있다.
하지만 소리를 감지하는 귀의 역할에 대한 연구는 세계적으로 소수 그룹만이 연구를 수행하고 있을 뿐 아직 미비하다.
배 교수 연구팀은 소리(음파)라는 기계적 신호가 식물세포에서 감지되는 과정과 그 후에 일어나는 반응을 체계적으로 연구했다.
배 교수는 “소리를 이용한 식물 연구 결과를 활용하여 스트레스에 강한 식물, 유용 물질의 생산, 식물의 생육촉진, 그리고 수확 후 관리 등 다양한 분야에서 경제적 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면서 “향후 소리(음파)라는 신호가 식물에서 인지되고 전달되는 정확한 기작을 밝히는데 연구를 지속적으로 해나갈 계획이다”라고 말했다.
배 교수의 주요 연구 분야는 ‘분자대사공학’이다.
모델식물인 애기장대를 이용하여 소리신호의 인지 및 전달기작을 연구하고 있다. 또한 인간의 장내미생물처럼 식물조직내에 공생하고 있는 내생미생물 관련 연구를 산양삼에서 수행하고 있으며, 내생미생물을 이용하여 유용물질 개발 관련 연구를 중점적으로 연구하고 있다. /95518050@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Tag

관련뉴스
- [영상뉴스] 달성군, 21일부터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 시작
- [김천시 소식] 그늘진 곳에 햇살을, 김천 복지의 내일을 그리다
- [경주시 소식] 주낙영 경주시장, 확대간부회의 주재…집중호우 피해·하반기 정책과제 점검
- [포항시 소식] 본격 피서철 앞둔 포항시 해수욕장, 다양한 축제·문화 행사로 ‘활기’
- 김천교육청, 2025 김천교육지원청부설 영재교육원 영재캠프 실시
- 영천시, 집중호우 이후 농작물 관리 철저 당부
- [경북도 영상뉴스] 경북 22개 시군, 21일부터 민생회복 소비쿠폰 1차 지급
- [의성군 영상뉴스] 의성군, 7월 21일부터 ‘민생회복 소비쿠폰’ 1차 신청·지급 시작
- 남양주, “GTX·수소로 달린다”…100만 시동
- 이천시, “수도권 알프스”...말산업특구 자부심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이마트, '넷제로 보고서' 발간⋯"온실가스 5300톤 감축"
- 2달성군, 21일부터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 시작
- 3그늘진 곳에 햇살을, 김천 복지의 내일을 그리다
- 4주낙영 경주시장, 확대간부회의 주재…집중호우 피해·하반기 정책과제 점검
- 5본격 피서철 앞둔 포항시 해수욕장, 다양한 축제·문화 행사로 ‘활기’
- 6김천교육청, 2025 김천교육지원청부설 영재교육원 영재캠프 실시
- 7영천시, 집중호우 이후 농작물 관리 철저 당부
- 8경북 22개 시군, 21일부터 민생회복 소비쿠폰 1차 지급
- 9의성군, 7월 21일부터 ‘민생회복 소비쿠폰’ 1차 신청·지급 시작
- 10“오처방·오남용으로 얼룩진 GLP-1 비만치료제… 적정 사용 위한 사회적 논의 필요"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