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잉·에어버스 납기 지연에…국내 항공사 ‘비상’
경제·산업
입력 2024-12-12 17:05:47
수정 2024-12-12 18:03:35
김효진 기자
0개

[앵커]
글로벌 양대 항공기 제작사인 유럽 에어버스와 미국 보잉이 파업 등의 영향으로 항공기 제작이 지연돼 납기를 늦추고 있습니다. 기단 확대에 나선 국내 항공업계는 소비자 신뢰하락으로 이어질까 발을 구르고 있는데요. 김효진 기잡니다.
[기자]
글로벌 항공기 생산 ‘투톱’인 보잉과 에어버스의 생산 지연 사태에 국내 항공사들이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습니다.
국내 항공사들은 새 항공기를 도입하는 등 기단을 확대하는 추세.
특히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 합병으로 국내 항공업계 전반에 지각변동이 일어나며 기단 도입 시점이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보잉은 7주간의 파업을 마치고 지난 6일 737 맥스 생산라인을 한 달 만에 재가동했습니다. 파업 영향으로 보잉의 월 항공기 생산량은 기존 38대에서 9대로 급감했습니다.
보잉은 이에 더해 잇따른 항공기 사고로 곤욕을 치르고 있습니다.
켈리 오토버그 보잉 CEO는 “내분과 책임회피 문화 등으로 보잉이 현재 최악의 위기를 맞았다”고 말하기도 했습니다.
에어버스는 수주 물량이 급증하며 납기 지연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10월 기준 에어버스 수주 잔고는 8,749대인데, 엔진 공급 지연 등 공급망 문제로 생산에 차질을 빚고 있습니다.
에어버스는 올해 항공기 생산 목표를 800대에서 770대로 하향 조정하기도 했습니다.
에어버스의 납기 지연으로 대한항공은 11월 말 예정이었던 A350-900 1호기 도입이 늦어지고 있습니다.
저비용항공사(LCC)들도 노선을 늘리며 기단을 확대하고 있는 상황.
특히 장거리를 운항하는 티웨이항공과 에어프레미아는 여유 기재가 부족해 항공기 스케줄이 빡빡하게 돌아가고 있습니다.
여유 기재 부족은 항공편 지연을 초래해 소비자 신뢰도 하락으로 이어질 수 있는 만큼, 국내 항공사들은 보잉과 에어버스의 생산 상황을 지켜보며 리스 계약 연장이나 운용 계획 수정 등으로 대응하는 모습입니다.
서울경제TV 김효진입니다. /hyojeans@sedaily.com
[영상편집 이한얼]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쿠팡풀필먼트서비스, ‘안전한 일터 만들기’ 합동 캠페인 진행
- 유한양행, ‘2025 대한민국 일자리 으뜸기업’ 선정
- 판티니, 국내 누적 판매 200만 병 돌파…감사 이벤트 진행
- 호텔마리나베이서울, 김포지역 청년기업과 지역상생 추석 패키지 선봬
- '검단 센트레빌 에듀시티', 9월 분양 예정
- 기보, 기업은행·방위산업공제조합 맞손…K-방산 경쟁력 강화
- 중기중앙회, 화평·화관법 제도 이행을 위한 수도권 설명회 개최
- CJ제일제당 '스팸 골드바 에디션', 더마켓·이마트서 판매
- 바른손이 운영하는 '졸스', 순방문자수 2배↑…"남미 비중 48%"
- 플라즈마텍, 환경부 주관 ‘2025 우수환경산업체’ 선정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부천시, 서해선·공공주택 추진 속도 낼까
- 2인천시의회 김대영 의원, 수봉공원·보훈시설 개선 요구
- 3이채영 의원, 사회적경제원장 후보자 인사청문회서..."강력 질타"
- 4인천시교육청, “처벌 넘어 회복” 교육 현장 바꾼다
- 5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 제25대 이지열 병원장 취임식 성료
- 6'요리명장' 안유성, 목포서 외식업 성공 비법 전수
- 7쿠팡풀필먼트서비스, ‘안전한 일터 만들기’ 합동 캠페인 진행
- 8유한양행, ‘2025 대한민국 일자리 으뜸기업’ 선정
- 9판티니, 국내 누적 판매 200만 병 돌파…감사 이벤트 진행
- 10“국민 80%, 치매 치료 신약에 대해 ‘잘 모른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