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잉·에어버스 납기 지연에…국내 항공사 ‘비상’
경제·산업
입력 2024-12-12 17:05:47
수정 2024-12-12 18:03:35
김효진 기자
0개

[앵커]
글로벌 양대 항공기 제작사인 유럽 에어버스와 미국 보잉이 파업 등의 영향으로 항공기 제작이 지연돼 납기를 늦추고 있습니다. 기단 확대에 나선 국내 항공업계는 소비자 신뢰하락으로 이어질까 발을 구르고 있는데요. 김효진 기잡니다.
[기자]
글로벌 항공기 생산 ‘투톱’인 보잉과 에어버스의 생산 지연 사태에 국내 항공사들이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습니다.
국내 항공사들은 새 항공기를 도입하는 등 기단을 확대하는 추세.
특히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 합병으로 국내 항공업계 전반에 지각변동이 일어나며 기단 도입 시점이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보잉은 7주간의 파업을 마치고 지난 6일 737 맥스 생산라인을 한 달 만에 재가동했습니다. 파업 영향으로 보잉의 월 항공기 생산량은 기존 38대에서 9대로 급감했습니다.
보잉은 이에 더해 잇따른 항공기 사고로 곤욕을 치르고 있습니다.
켈리 오토버그 보잉 CEO는 “내분과 책임회피 문화 등으로 보잉이 현재 최악의 위기를 맞았다”고 말하기도 했습니다.
에어버스는 수주 물량이 급증하며 납기 지연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10월 기준 에어버스 수주 잔고는 8,749대인데, 엔진 공급 지연 등 공급망 문제로 생산에 차질을 빚고 있습니다.
에어버스는 올해 항공기 생산 목표를 800대에서 770대로 하향 조정하기도 했습니다.
에어버스의 납기 지연으로 대한항공은 11월 말 예정이었던 A350-900 1호기 도입이 늦어지고 있습니다.
저비용항공사(LCC)들도 노선을 늘리며 기단을 확대하고 있는 상황.
특히 장거리를 운항하는 티웨이항공과 에어프레미아는 여유 기재가 부족해 항공기 스케줄이 빡빡하게 돌아가고 있습니다.
여유 기재 부족은 항공편 지연을 초래해 소비자 신뢰도 하락으로 이어질 수 있는 만큼, 국내 항공사들은 보잉과 에어버스의 생산 상황을 지켜보며 리스 계약 연장이나 운용 계획 수정 등으로 대응하는 모습입니다.
서울경제TV 김효진입니다. /hyojeans@sedaily.com
[영상편집 이한얼]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MBK "한화 지분 헐값 처분, 1000억대 손해 봐"…고려아연 "억측"
- 구글, 잇단 사법 리스크…실적 타격 ‘어쩌나’
- 도시정비 양극화…삼성 ‘5조’·현엔·SK ‘제로’
- 생존 위기 몰린 석화업계…‘4사4색’ 고비 넘기
- SKT, 1분기 ‘선방’…“2분기 해킹 여파 본격화”
- HMM, 영구채 완전 청산…새 주인 찾기 ‘잰걸음’
- 한국MSD,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 20곳과 기술이전 등 파트너십 체결
- 감동공장, AI로 제작 시간 40% 단축…글로벌 교육 시장 진출 속도
- 마드라스체크, 액션파워와 MOU 체결…"AI 음성인식 기술 협업"
- 진에어, 임직원 자녀 초청 '안전 체험' 실시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