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잉·에어버스 납기 지연에…국내 항공사 ‘비상’
경제·산업
입력 2024-12-12 17:05:47
수정 2024-12-12 18:03:35
김효진 기자
0개

[앵커]
글로벌 양대 항공기 제작사인 유럽 에어버스와 미국 보잉이 파업 등의 영향으로 항공기 제작이 지연돼 납기를 늦추고 있습니다. 기단 확대에 나선 국내 항공업계는 소비자 신뢰하락으로 이어질까 발을 구르고 있는데요. 김효진 기잡니다.
[기자]
글로벌 항공기 생산 ‘투톱’인 보잉과 에어버스의 생산 지연 사태에 국내 항공사들이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습니다.
국내 항공사들은 새 항공기를 도입하는 등 기단을 확대하는 추세.
특히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 합병으로 국내 항공업계 전반에 지각변동이 일어나며 기단 도입 시점이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보잉은 7주간의 파업을 마치고 지난 6일 737 맥스 생산라인을 한 달 만에 재가동했습니다. 파업 영향으로 보잉의 월 항공기 생산량은 기존 38대에서 9대로 급감했습니다.
보잉은 이에 더해 잇따른 항공기 사고로 곤욕을 치르고 있습니다.
켈리 오토버그 보잉 CEO는 “내분과 책임회피 문화 등으로 보잉이 현재 최악의 위기를 맞았다”고 말하기도 했습니다.
에어버스는 수주 물량이 급증하며 납기 지연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10월 기준 에어버스 수주 잔고는 8,749대인데, 엔진 공급 지연 등 공급망 문제로 생산에 차질을 빚고 있습니다.
에어버스는 올해 항공기 생산 목표를 800대에서 770대로 하향 조정하기도 했습니다.
에어버스의 납기 지연으로 대한항공은 11월 말 예정이었던 A350-900 1호기 도입이 늦어지고 있습니다.
저비용항공사(LCC)들도 노선을 늘리며 기단을 확대하고 있는 상황.
특히 장거리를 운항하는 티웨이항공과 에어프레미아는 여유 기재가 부족해 항공기 스케줄이 빡빡하게 돌아가고 있습니다.
여유 기재 부족은 항공편 지연을 초래해 소비자 신뢰도 하락으로 이어질 수 있는 만큼, 국내 항공사들은 보잉과 에어버스의 생산 상황을 지켜보며 리스 계약 연장이나 운용 계획 수정 등으로 대응하는 모습입니다.
서울경제TV 김효진입니다. /hyojeans@sedaily.com
[영상편집 이한얼]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불닭볶음면 신화' 김정수 부회장, 삼양라운드스퀘어 대표 사임
- “우리는 하나”…진에어·에어부산·에어서울 합동 등반 대회
- 에몬스, 산업인력공단서 감사패…“국제기능올림픽 지원 공로”
- 함께일하는재단, ‘소셜벤처의 기술혁신과 글로벌 진출 전략’ 웨비나
- LS일렉트릭, 1분기 영업익 873억원…전년비 6.9% 감소
- 한국타이어, 중대형 카고 트럭용 타이어 출시
- HS효성첨단소재, 친환경 고성능 탄소섬유 개발 박차
- "크보(KBO)빵 없어 못 판다"…팬심 자극하는 ‘야구 마케팅’
- 포스코그룹, 현대차그룹과 미래 모빌리티 시장 선도 '맞손'
- LG전자, 텀블러 세척기 출시…"스벅 등 B2B 신사업 영역 확장"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강원특별자치도, 의료원 경영개선 자금 50억 ... 차등 지원
- 2광주평통사, 1인 시위 '프리덤 플래그' 연합훈련 중단 촉구
- 3'불닭볶음면 신화' 김정수 부회장, 삼양라운드스퀘어 대표 사임
- 4대국민 불법도박 근절과 건강한 병영문화 위한 아이디어 찾기
- 5보훈복지의료공단, 노사 합동 산불 피해 구호 성금 5440만원 전달
- 6광양경자청, 일본서 투자유치 본격 추진
- 7해경교육원-중부대, 업무협력 협약식
- 8윤병태 나주시장, '봉황면, 미래는 청년 책임' 주제 간담회
- 9"옷깃만 스쳐도 관련주?"…대선판 달아오르자 정치테마주 '들썩'
- 10“우리는 하나”…진에어·에어부산·에어서울 합동 등반 대회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