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PF '위태'…올해도 저축은행 건전성 고삐
금융·증권
입력 2025-02-03 17:54:51
수정 2025-02-03 19:09:01
김도하 기자
0개

부동산 시장 침체가 본격화되면서 고위험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비율이 높은 저축은행의 부동산 PF 부실 리스크가 커지고 있습니다. 저축은행의 연체율과 고정이하여신(부실채권) 비율이 빠르게 상승하는 등 부실 위험이 커지자 금융당국이 건전성 관리 압박 수위를 높이고 있습니다. 김도하 기자입니다.
[기자]
부동산 경기가 악화되면서 PF 중 브릿지론과 토지담보대출(토담대) 등 고위험 여신 비중이 높은 저축은행의 부실 위험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저축은행의 전체 PF 익스포저(위험 노출액) 중 고위험 PF 비중은 무려 61%.
여기에 연초부터 중견 건설사인 신동아건설과 대저건설이 기업회생절차를 신청하는 등 건설업계 전반에 위기감이 고조되자, 저축은행 사태가 재현될 수 있다는 우려도 커지는 상황.
은행권 대비 부실 위험이 높다보니 연체율은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습니다.
지난해 3분기 기준 저축은행 79곳 중 절반에 가까운 36곳(45.6%)은 연체율 10%를 넘겼습니다.
6개월 이상 연체돼 사실상 원금 회수가 어려운 부실채권 비율은 3개 분기 연속 10%대를 기록했습니다.
부실채권 비율이 20%를 넘긴 저축은행도 4곳에 달합니다.
하지만 경기 침체가 길어지고 대내외 불확실성이 증가하면서 부실 사업장 정리는 더딘 실정입니다.
정리가 완료된 물량은 지난해 9월 말 1조2,000억원, 10월 말 2조4,000억원(누적)으로 늘었지만, 이후 증가 폭이 줄었습니다.
금융당국은 저축은행의 부실 위험이 커지자 현장점검 등을 통해 건전성 관리 강화를 주문했습니다.
금융감독원은 최근 건전성 지도가 필요한 저축은행 중 충당금 적립이 더 필요하다고 본 4곳을 대상으로 현장점검을 하고, 10여곳에 대해서는 경영진 면담을 진행했습니다.
금감원은 부실 자산이 많은 저축은행에 대해 여력 내에서 정해진 기준보다 충당금을 더 쌓도록 지도했습니다.
금융당국은 PF 경·공매 플랫폼 구축 등 부실 정리에도 드라이브를 걸었지만, 올해 건설 경기가 얼어붙으면서 저축은행의 건전성 개선은 불투명해보입니다.
서울경제TV 김도하입니다. /itsdoha.kim@sedaily.com
[영상편집 이한얼]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저속노화'에 외면받는 탄산음료…목표주가 '줄하향'
- 동양생명 새 대표에 성대규 단장 물망…우리금융 선택은?
- 'IPO 삼수생' 케이뱅크의 고심 …시장 냉각기·건전성 관리 변수
- 인크레더블버즈, 美 부실 법인에 대규모 투자 예고
- 이복현 "롯데손보 조기상환 추진, 심각한 우려…엄정 조치하라”
- 우리금융, 통계청과 데이터 기반 공동연구 MOU 체결
- 차이커뮤니케이션, AWS AI 챗봇형 광고 분석 도입
- KB국민은행, 어버이날 맞아 독거노인 대상 사회공헌 활동
- 엠젠솔루션, AI 화재감지·소화시스템 관련 특허 등록
- 하나증권, 서울맹학교와 봄나들이 봉사활동 진행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구리시, 내일 유채꽃 축제 개막...'드라마 같은 꽃밭'
- 2SKT 유영상 “위약금 등 3년간 7조원 손실 예상”
- 3‘시총 5위’ 한화에어로…올해 K9·천무로 수출 ‘날개’
- 4두산에너빌·대우건설, 체코원전 계약 지연 ‘촉각’
- 5카카오, 1분기 실적 ‘주춤’…‘카나나’ 돌파구 될까
- 6'저속노화'에 외면받는 탄산음료…목표주가 '줄하향'
- 7동양생명 새 대표에 성대규 단장 물망…우리금융 선택은?
- 8고창군, 고향사랑기부제 ‘5월 1+1+1 통큰이벤트’ 진행
- 9'IPO 삼수생' 케이뱅크의 고심 …시장 냉각기·건전성 관리 변수
- 10GS리테일 ‘아픈 손가락’ 요기요…적자탈출 어쩌나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