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팸·스미싱 꼼짝마”…통신3사, AI로 피해 막는다

경제·산업 입력 2025-02-12 18:02:03 수정 2025-02-12 19:33:06 김혜영 기자 0개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작년 상반기 스팸 신고 2억여건…3년새 8배 ‘껑충’
이통3사, AI 활용해 ‘스팸·스미싱’ 차단한다
KT, ‘AI 클린메시징시스템’으로 스팸 차단
LG유플러스, AI로 ‘변조 스미싱’ 6만건 차단
SKT, 에이닷 통해 보이스피싱 탐지·차단

▲ “스팸·스미싱 꼼짝마”…통신3사, AI로 피해 막는다
[앵커]
정부 기관 등을 사칭해 문자를 보낸 뒤 개인정보를 빼내는 스미싱 피해가 좀처럼 끊이지 않고 있습니다. 시도 때도 없이 날아오는 스팸 문자도 여전히 기승인데요. 이동통신사들이 인공지능(AI)을 활용해 스미싱과 스팸 피해 막기에 나섰습니다. 김혜영 기잡니다.

[기자]
지난해 상반기 스팸문자 신고 건수는 2억1751만건.
3년 사이 8배 가까이 늘었습니다.
작년 스미싱 건수는 219만여건으로 집계됐는데, 3년 새 60배 가까이 급증했습니다.

스팸과 스미싱으로 인한 소비자 피해가 속출하자 이통3사가 팔을 걷어붙였습니다.
AI를 활용해 스팸과 스미싱을 차단하고 고객의 개인정보 탈취 등을 막아 2차 피해를 줄이겠다는 겁니다. 

KT는 스팸문자 최초 발송자를 차단하는 핀셋 제재에 나섭니다.
스팸문자 최초 발송자가 다수의 문자재판매사업자를 통해 스팸문자를 분산 발송해 제재를 회피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하겠다는 겁니다.

[싱크] 김성원/ KT 엔터프라이즈 부문 팀장
“스팸 발신번호 블랙리스트를 관계 기관에 제공하는 한편, 스팸문자 최초 발송 재판매사업사를 차단하는 핀셋 제재 정책을 시행하는 등 고객들이 스팸으로부터 안전한 디지털 환경을 누릴 수 있도록"

여기에 ‘AI 클린메시징시스템’을 통해 수시로 변하는 스팸 유형에 대응해 스팸 문자 차단에 속도를 높이고 있습니다.

LG유플러스는 AI를 활용해 스미싱 차단에 나섰습니다. 
스미싱 URL과 악성 앱을 분석하고 추출해 해당 URL을 눌러도 접속할 수 없게 막는 방식입니다.
제도 도입 후 6개월 간 6만여건의 URL 변조사례를 잡아냈습니다.

SK텔레콤은 AI 전화 서비스 ‘에이닷’을 통해 보이스피싱 탐지와 자동 차단 기능을 탑재하고, AI 분석을 통해 불법 스팸 우회, 위장 사이트를 탐지하고 있습니다.
서울경제TV 김혜영입니다. /hyk@sedaily.com

[영상편집 이한얼]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자 전체보기

기자 프로필 사진

김혜영 기자

jjss1234567@sedaily.com 02) 3153-2610

이 기자의 기사를 구독하시려면 구독 신청 버튼을 눌러주세요.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공지사항

더보기 +

이 시각 이후 방송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