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살' 오리온 초코파이, 작년 40억개 판매…역대 최대
경제·산업
입력 2025-02-27 15:06:02
수정 2025-02-27 15:06:02
이혜연 기자
0개
[서울경제TV=이혜연기자] 오리온은 2024년 출시 50주년을 맞은 ‘초코파이情’의 글로벌 판매량이 40억개를 넘어서며 역대 최대 판매량을 기록했고, 금액으로는 5800억원을 달성했다고 27일 밝혔다.
1974년 출시 이래 누적판매량은 500억개를 돌파했으며, 누적매출로는 8조원을 훌쩍 넘어섰다. 해외에서만 전체의 67%에 달하는 5조5000억원의 누적매출을 올리며 명실상부한 대한민국 대표 글로벌 브랜드임을 입증했다. 국내 식품업계에서도 유례없는 성과다.
오리온 초코파이는 모방할 수 없는 독보적인 제품력으로 전 세계인의 입맛을 사로잡으며 오리온이 글로벌 식품회사로 성장할 수 있는 원동력이 됐다. 수십 년간 쌓아온 글로벌 사업 역량을 바탕으로 국가별 문화와 트렌드에 발맞춘 신제품을 출시하는 등 현지화 전략으로 최고의 전성기를 맞이하고 있다.
오리온 초코파이 고유의 정서적 아이덴티티인 ‘정(情)’이 국내뿐만 아니라 글로벌 시장에서 자리잡은 것도 주효했다. 해외 시장에 진출한 지 30년을 넘어서며 글로벌 소비자들 사이에서도 초코파이가 세대를 넘어 가족, 친구들과 함께 마음을 나누는 제품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현재 초코파이는 전 세계 60여개 국가에서 총 24종이 판매되고 있다. 한국, 중국, 베트남, 러시아, 인도에서는 현지 생산시설을 구축하고 글로벌 시장을 적극적으로 공략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오리지널과 바나나 맛이 인기리에 판매되는 가운데 색다른 맛과 감각적인 디자인의 계절 한정판 제품들이 완판을 이어가며 전 세대를 아우르는 제품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중국에서는 중국 대표 브랜드 평가 기관인 ‘Chnbrand’가 발표하는 ‘중국 고객추천지수’(C- NPS) 파이 부문에서 총 7번이나 1위를 차지했다. 이는 해당 브랜드를 얼마나 적극적으로 추천할 의사가 있는지를 측정하는 지표로 고객의 신뢰와 충성도를 반영한다.
베트남에서는 현지 파이 시장점유율 1위로 제사상에도 올라가는 등 국민간식으로 통용되고 있다.
러시아에서는 지난해 전 세계 초코파이 판매량의 40%에 해당하는 16억 개가 판매될 만큼 수요가 높다. 현지 식문화를 반영한 잼을 활용한 제품을 선보이는 등 해외 법인 중 가장 많은 12종의 초코파이를 생산·판매하고 있다.
인도에서도 현지인이 가장 선호하는 딸기와 과일 소비량 1위인 망고를 접목한 차별화된 제품을 선보이는 등 현지화 전략을 통해 시장을 공략해 나가고 있다.
오리온 관계자는 “초코파이는 초콜릿, 비스킷, 캔디 기술이 융합된 오리온 제과기술의 집약체”라며 “오리온 초코파이만의 정서적 가치까지 전 세계인 모두가 즐기는 제품으로 키워갈 것”이라고 밝혔다. /hy2ee@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미쉐린코리아, 중랑천 일대서 '프리저브 포 제로' 진행
- 코스알엑스, ‘더마 랩’ 브랜드 단독 팝업스토어 운영
- CJ제일제당, 김치의 날 맞아 ‘김치대전’ 기획전 진행
- 컴투스 아이모, 첫 신규 직업 ‘무도가’ 출시
- BMW 코리아, 인천지역 소방대원 대상 전기차 소방 교육∙훈련 진행
- "탑재율 100%"…파라타항공, 밸리카고 사업 본격화
- 넷마블 뱀피르, 개발자 라이브 방송 예고
- HD현대1%나눔재단, HD현대아너상 대상에 ‘정덕환’ 씨 선정
- 분양가 상한제에 쏠리는 관심…‘시흥거모 엘가 로제비앙’ 주목
- 현대백화점, '서부내륙권 미식 팝업스토어' 공개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미쉐린코리아, 중랑천 일대서 '프리저브 포 제로' 진행
- 2코스알엑스, ‘더마 랩’ 브랜드 단독 팝업스토어 운영
- 3도성훈 인천교육감, 전국교육감협의회 총회서 주요 교육현안 논의
- 4경기도주택공사 "사고없는 현장 만들겠다"
- 5이재준 수원특례시장 "과밀억제권역 핵심은 비수도권과 상생"
- 6하남시, 시민이 뽑는 ‘K-POP 댄스 챌린지’ 온라인 심사 개시
- 7안산시, 더~출생 캠페인 우리는 미래다 대규모 행진
- 8평택시, 탄소중립 녹색성장 기본계획 중간 점검
- 9이상일 용인특례시장, “분당선 연장 예비타당성 조사진행 적극 협력”
- 10의정부시, 과밀규제에 ‘반환공여지 산업 전환’ 제약 지적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