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G캐피탈 품은 새마을금고…“적자폭 확대 우려”
금융·증권
입력 2025-03-07 19:35:39
수정 2025-03-07 19:35:39
김도하 기자
0개
새마을금고 “M캐피탈, MG캐피탈로 사명 변경”
MG캐피탈 한숨 돌려…“새마을금고엔 악재 될수도”
부동산 PF 부실 여파…작년 상반기 1.2조 손실

새마을금고중앙회가 인수한 M캐피탈이 MG캐피탈로 간판을 바꿔달면서 인수 절차가 마무리 단계에 접어들었습니다. 유동성 위기로 어려움을 겪었던 MG캐피탈은 숨통이 트이게 됐지만 새마을금고는 적자폭이 확대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옵니다. 김도하 기잡니다.
[기자]
새마을금고중앙회가 M캐피탈의 사명을 ‘MG캐피탈’로 변경했습니다.
중앙회는 지난달 28일 M캐피탈 인수를 위한 최종 대금을 납입하고, 임시주주총회를 열어 사명을 바꿨다고 밝혔습니다. 인수 금액은 약 4670억원.
새마을금고는 MG캐피탈의 지분 98%가량을 가진 대주주가 됐습니다.
MG캐피탈의 신임 대표이사는 주주총회 및 이사회를 거쳐 이달 중 선임될 예정입니다.
유동성 위기에 내몰렸던 MG캐피탈은 새마을금고에 흡수되면서 한숨 돌렸지만, 자체 부실이 상당한 새마을금고에는 악재로 작용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옵니다.
새마을금고는 부동산 PF 부실 여파로 지난해 사상 최대 규모의 적자를 기록했습니다.
지난해 상반기에만 1조2000억원이 넘는 순손실을 기록하면서, 전년 동기(-1236억원) 대비 적자 폭이 10배 수준으로 확대됐습니다.
부동산 PF 대출 부실화에 따라 충당금도 대폭 늘었는데, 지난해 상반기에만 무려 1조4000억원을 쌓았습니다. 전년 한 해 동안 적립한 충당금을 반년 만에 넘어선 겁니다.
새마을금고의 연체율은 지난해 상반기 기준 7.24%로, 전년 동기(5.07%) 대비 2.17%포인트 상승했습니다.
지역 개별금고(1282개)도 절반 이상이 적자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새마을금고가 이번에 인수한 MG캐피탈의 상황도 어렵긴 마찬가집니다.
MG캐피탈 역시 부동산 PF 부실이 심화하면서 자산이 축소되고 신용등급이 하락하는 등 유동성 문제가 불거졌습니다.
MG캐피탈의 적자폭은 늘고 있는 상황입니다. MG캐피탈의 지난해 상반기 기준 순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85% 넘게 줄었습니다.
지난해 9월 말 기준 영업자산은 전년 대비 20% 넘게 급감했습니다. 부실채권 비중도 자기자본의 13%에 달합니다.
부동산 경기 침체 속 MG캐피탈을 끌어안은 새마을금고.
부실이 더욱 심화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옵니다.
서울경제TV 김도하입니다. /itsdoha.kim@sedaily.com
[영상취재 김경진 / 영상편집 이한얼]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코스피·코스닥 나란히 6% 상승 마감…'美관세 유예 안도감'
- IBK기업은행, 방통위 본인확인기관 신규 지정
- 우리銀, 원더라운드와 '외국인 관광객 금융 서비스' 업무 협약
- BNK부산은행, 자립청년 위해 주거 지원 업무협약 체결
- 코스닥도 매수 사이드카 발동…코스닥150선물 6% 급등
- DB생명, ‘2024 연도상’ 시상식 개최
- [개장시황] 美 관세유예에 코스피, 매수 사이드카 발동
- 우리은행 여의도북지점 포함 7개 불용 부동산 공개 매각
- 코스피시장 매수 사이드카 발동…코스피200선물 5% 급등
- 코스피, 美상호관세 유예에 5% 넘게 상승…2400선 회복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