쪼그라드는 카드사…KB국민카드, 11년만 ‘무배당’
금융·증권
입력 2025-03-11 18:49:33
수정 2025-03-11 18:49:33
김도하 기자
0개

지난해 호실적을 기록한 주요 카드사들이 ‘무배당’을 선언하면서 업황 악화에 대한 우려가 확산하고 있습니다. 경영 환경이 악화하자 내부 유보금을 확보하기 위해 배당 자제에 나선 것으로 풀이되는데요. 올해도 내수 부진과 경기 악화가 지속된다는 전망이 나오면서 카드사들이 손실흡수능력 확충에 더욱 집중하는 모양샙니다. 김도하 기자입니다.
[기자]
8개 전업 카드사(신한·삼성·KB국민·현대·롯데·하나·우리·BC카드) 중 절반이 지난해 호실적에도 불구하고 올해 배당금 규모를 줄이거나 무배당을 결정했습니다.
8개 카드사의 지난해 결산 기준 배당금 총액은 8674억원으로, 전년(1조497억원) 대비 17% 넘게 쪼그라들었습니다.
KB국민카드와 BC카드가 올해 결산 배당을 하지 않기로 결정했고, 신한카드와 롯데카드는 실적이 감소하면서 배당 규모가 줄었습니다.
KB국민카드는 지난해 실적 상승과 함께 3위권을 기록했지만 11년만에 무배당을 선언했습니다. BC카드도 지난해 순이익이 전년보다 70% 넘게 증가했지만 배당을 하지 않기로 결정했습니다.
이들 카드사는 불확실한 경기 상황에 유연하게 대응하고 손실흡수능력을 강화하기 위해 올해 배당을 실시하지 않기로 했다고 밝혔습니다.
주요 카드사들의 배당금이 줄어든 데는 대내외적 불확실성이 커진 탓이라는 분석입니다.
고금리 장기화에 따른 조달 부담 증가와 내수 부진, 여기에 카드 가맹점 수수료율이 지속해서 인하되면서 업황이 악화한 겁니다.
카드사들의 실적이 개선된 것처럼 보이지만, 본업인 신용판매 수익보다 비용절감과 카드론 확대 등에 따른 전형적인 ‘불황형 흑자’였다는 지적입니다.
[싱크] 서지용 / 상명대 경영학과 교수(한국신용카드학회장)
“그만큼 수익 창출이 안 돼서 내부 유보가 부족하니까 배당을 통해서 사외 유출을 안 하겠다는 맥락인 거고…어느 정도 리스크 관리에 기반한 수위 조절하면서 수익을 좀 보존하는 게 중요하고…”
올해는 금융당국이 카드론에도 총량 규제를 적용할 것으로 보여 카드사들의 수익성 방어가 더욱 어려워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서울경제TV 김도하입니다. /itsdoha.kim@sedaily.com
[영상편집 유연서]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NH농협은행, 영국 런던지점 개점식 개최…"글로벌 IB 도약 요충지"
- 부실 코스닥社, 주주배정 증자 잇따라…'개미 무덤' 될라
- 은행권, 아시아 넘어 유럽으로…글로벌 사업 확대 박차
- '가교보험사' 예별손보 출범…계약이전·매각 동시 추진
- 새내기 조선株 두 곳, 상장 한달 안팎 나란히 '공모가 상회'
- 10대 증권사 '해외주식 수수료 수익' 1조원 육박…전년비 60%↑
- 증권사, 상반기 해외주식 수수료 1조 육박
- 은행 부실채권 규모 고공행진 지속…NPL 시장 활황
- 카카오페이, 보험 적자·오버행 리스크 ‘이중고’
- IBK기업은행, 소상공인 위기극복 지원…7.5조원 규모 특별지원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5년 앞으로 다가온 오사카 카지노, 강원랜드의 생존 전략은?
- 2포항시, 동방경제포럼서 영일만항 북극항로 대응 전략 모색
- 3포항시, 경북 무형유산대전서 우수 전통문화 가치 전해
- 4포항시, 산업위기선제대응지역 지정…금융지원 본격화
- 52025 영천문화제, 전통과 현대가 어우러진 시민 화합 무대
- 6경주지역자활센터, 보건복지부 평가 ‘우수기관’선정
- 7경주시, ‘월드음식점 150곳’ 선정…APEC 손님맞이 준비 박차
- 8경주시민 10명 중 8명 “시정 만족”…민선 8기 3주년 성과 확인
- 9김천시새마을회, 2025 새마을 환경 페스타 성황리 개최
- 10LH, 땅 안 팔고 직접 짓는다…공공이 공급 중심으로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