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 1위’ 대흥건설 법정관리 수순…대형사도 불안
경제·산업
입력 2025-04-09 19:02:44
수정 2025-04-09 19:02:44
이지영 기자
0개
대흥건설 법정관리 신청 준비…“자금난 못 버텨”
올해 법정관리 신청 건설사 9곳…유동성 위기 탓
“치솟는 공사비에 신규 수주도 어려워”
[앵커]
올해 들어 법정관리에 들어간 건설사가 벌써 9곳입니다. 건설 불황에 현금이 돌지 않는 게 가장 큰 문젠데, 중소형 건설사뿐 아니라 대형사들도 유동성 위기에 놓이면서 업계 전반에 불안감이 커지고 있습니다. 이지영 기잡니다.
[기자]
충북 지역 1위 건설사 대흥건설이 법정관리 신청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전국 6개 책임준공형 토지신탁으로 진행한 프로젝트파이낸싱(PF) 사업장에서 자금난을 겪은 게 원인으로 꼽힙니다.
이로써 올해 들어서만 법정관리를 신청한 건설사는 총 9곳.
건설 경기 불황에 현금 확보가 어렵게 된 여파입니다.
착공에 들어가야 현금이 돌기 시작하는데, 지난해엔 약 30만 가구가 착공됐습니다.
5년 전 연간 50만 가구를 넘었던 것과 비교하면 크게 줄어든 수준입니다.
공사비가 날로 올라 신규 수주를 하는 데도 어려움이 커졌습니다.
이 같은 분위기는 중소·중견 건설사뿐만 아니라 대형사에도 불고 있습니다.
대부분 건설사들의 평균 원가율이 90% 이상이라 자칫 유동성 위기에 빠질 수 있는 상황입니다.
지난해 현대건설의 원가율은 100.7%로 10대 건설사중 가장 높았고, 포스코이앤씨(94.2%)와 롯데건설(93.52%), 대우건설(91.16%) 등도 90%를 넘었습니다.
특히 이들 건설사는 주택 사업 비중이 커 건설경기 불황에 직격탄을 맞을 수밖에 없습니다.
오는 7월엔 스트레스 DSR 3단계가 시행될 예정이라 실수요자의 구매 여력 약화로 건설사의 유동성 위기는 더 커질 거란 전망이 나옵니다.
서울경제TV 이지영입니다. /easy@sedaily.com
[영상편집 이한얼]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중기중앙회, 한·일 경제협력 인식조사 발표
- 중진공, 인도공과대학 TIF와 AI 기술협력
- 국토부·외교부, 13개국과 항공회담…UAE 지방공항 운수권 신설
- 현대백화점, 현대어린이책미술관 고객 참여형 전시 프로그램 운영
- CJ대한통운, 리얼월드와 ‘물류용 로봇 파운데이션 모델’ 공동 개발 나선다
- 제네시스, 美 매체 선정 ‘2026년 럭셔리 자동차 브랜드’
- 고령운전자 운전 기록 분석해보니…141명 석달 간 페달오조작 71회
- HD현대, 美안두릴과 자율 무인수상함 협력
- 스타벅스, 모닝 세트 이용 고객 증가…"구성 다양화 예정"
- 쿠팡 로켓그로스, 소상공인 성장 '발판'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중기중앙회, 한·일 경제협력 인식조사 발표
- 2중진공, 인도공과대학 TIF와 AI 기술협력
- 3국토부·외교부, 13개국과 항공회담…UAE 지방공항 운수권 신설
- 4현대백화점, 현대어린이책미술관 고객 참여형 전시 프로그램 운영
- 5CJ대한통운, 리얼월드와 ‘물류용 로봇 파운데이션 모델’ 공동 개발 나선다
- 6제네시스, 美 매체 선정 ‘2026년 럭셔리 자동차 브랜드’
- 7고령운전자 운전 기록 분석해보니…141명 석달 간 페달오조작 71회
- 8HD현대, 美안두릴과 자율 무인수상함 협력
- 9스타벅스, 모닝 세트 이용 고객 증가…"구성 다양화 예정"
- 10쿠팡 로켓그로스, 소상공인 성장 '발판'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