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한라이프 후순위채 흥행…‘건전성’이 자금조달 성패 가른다
금융·증권
입력 2025-05-28 17:46:06
수정 2025-05-29 01:00:13
김도하 기자
0개

[앵커]
보험사들의 자금 조달 움직임이 재개되고 있습니다. 신한라이프가 1조원 넘는 수요를 끌어내며 후순위채 발행에 성공했고, 한화생명도 대규모 신종자본증권 발행에 나섰습니다. 시장 신뢰를 좌우하는 건 건전성 지표였습니다. 김도하 기자입니다.
[기자]
신한라이프가 발행한 3000억원 규모 후순위채에 1조2140억원의 수요가 몰렸습니다. 모집액의 4배가 넘는 성과로, 최근 롯데손해보험의 콜옵션 미이행으로 위축된 보험업계 자본시장 분위기를 반전시킨 사례로 평가됩니다.
신한라이프의 핵심 건전성 지표인 킥스(K-ICS) 비율은 올해 1분기 기준 188.3%.
금융당국의 권고 기준인 150%를 크게 웃돌고, 신용등급 역시 한국기업평가와 한국신용평가로부터 모두 AA+(안정적) 등급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이 같은 우량 지표가 수요예측 흥행을 이끈 배경으로 작용했습니다.
국내 보험사의 자본성증권 발행 규모는 올해 1분기에만 약 5조원에 달하는 상황.
시장금리 하락과 해지율 상승 리스크로 킥스 비율이 전반적으로 하락하자, 보험사들은 자본건전성 유지를 위해 선제적으로 대응에 나섰습니다.
한화생명도 최대 10억 달러, 한화 약 1조3650억원 규모의 신종자본증권 발행을 결정했습니다. 현재 한화생명의 킥스 비율은 155%로, 지난해 말 대비 8.7%포인트 하락한 상태. 한화생명은 다음 달 중 수요예측을 거쳐 발행에 나설 예정입니다.
금융당국은 보험사의 자본성증권 발행 부담을 덜기 위해 킥스 기준을 150%에서 130%로 낮추는 방안을 추진 중입니다. 하지만 시장에서는 여전히 '건전성 프리미엄'이 작용하고 있어, 지표가 높은 보험사만이 낮은 금리로 안정적인 자본을 조달할 수 있다는 구조는 변하지 않았습니다.
감독 기준 완화와 별개로 자금조달의 실제 성패는 시장의 신뢰에 달려 있습니다. 건전성 지표가 우수한 보험사에만 투자 수요가 몰리는 구조 속에 향후 자금시장 양극화가 더 심화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됩니다.
서울경제TV 김도하입니다. /itsdoha.kim@sedaily.com
[영상편집 김양희]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증시 부양 공약에 금리 인하 호재까지…환호하는 금융株
- [이슈플러스] 7달새 네번째 금리 인하…주담대 증가세 가속화?
- 금융당국 "사모펀드 감독 강화"에 긴장하는 2금융권
- 한국투자증권, 美 법인에 3711억 조달…"현지 IB 역량 강화"
- 네이버페이, 10주년 기념 'Npay 10 페스타'…31일까지 이어진다
- 두나무, 오경석 신임 대표 내정...내달 주총서 의결
- 이석우 두나무 대표 사임…"고문으로 남아 일할 계획"
- 코스피, 2720대 마감…10개월만에 최고
- IBK기업은행, ‘I-기후동행카드’ 출시
- 은행권, 지난해 사회공헌 1조8934억 투입…전년比 16% 증가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전북 순창, 사전투표 첫날 투표율 45.51% '전국 1위'
- 2부산항만공사 "올카고 그룹, 부산항 신항에 물류센터 개장"
- 3남원시관광협의회 리플러스, 감성 힐링 프로그램 '별멍달멍' 개최
- 4미라클여성의원 박동수 원장, 계명대 동산병원에 발전기금 5천만 원 기부
- 5계명대 동산병원, 정신건강 분야 적정성 평가 2개 부문 ‘1등급’ 획득
- 6의성군의회, 의성소방서와 합동소방훈련 실시
- 7의성군, 국제자매결연도시 중국 셴양시 교사·학생 대표단 방문
- 8삼성물산, 엘리엇에 2심도 이겨…“지연손해금 안줘도 돼”
- 9대구광역시, 2025년 제1차 '라이즈(RISE) 성과포럼’ 개최
- 10대구광역시, 노숙인 일자리 창출 협력사업 업무협약 체결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