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급망 규제 대응 위해 車산업 데이터 플랫폼 구축해야"

경제·산업 입력 2025-07-09 17:08:35 수정 2025-07-09 17:08:35 이채우 기자 0개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KAMA, '데이터 플랫폼 구축 전략 토론회' 개최

[사진=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

[서울경제TV=이채우 인턴기자]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연합회(KAMA)는 자동차회관에서 '자동차산업 공급망 데이터 플랫폼 구축 전략 토론회'를 개최했다고 9일 밝혔다.

이번 토론회는 유럽발 자동차 공급망 규제에 대응하기 위한 한국형 자동차산업 공급망 데이터 플랫폼 구축의 필요성을 논의하고 효율적인 구축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강남훈 자동차모빌리티산업연합회 회장은 개회사에서 글로벌 공급망 규제 변화와 국내 자동차산업의 대응 필요성을 강조했다.

강 회장은 “자동차 환경규제는 전통적인 배기구의 배출가스를 규제하던 방식에서 최근에는 LCA, 공급망 실사, 재활용 소재 의무사용 등 공급망 전체를 관리해야 대응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화하고 있다”며, “특히 내년 6월부터 EU는 완성차 업계에 자발적인 CO2 LCA 데이터 제출을 요구하고 있으며, 이미 유럽의 일부 OEM들은 국내 부품업계에 탄소 정보를 요청하고 있어 대응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이어 “이러한 글로벌 추세에 대응하기 위해 국내 자동차 업계도 LCA를 중심으로 규제 대응시스템 구축을 추진하고 있으나 공급망 전체의 데이터 산출 및 관리에 한계가 있다"며, "데이터 산정 방식을 표준화하고 공급망 전체를 연결하는 데이터 플랫폼 구축이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또한 강 회장은 “데이터 플랫폼 구축과정에서 업계의 니즈를 정확히 파악하고, 특히 중소 부품업계 입장에서 업무와 비용부담을 최소화하면서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향으로 시스템이 구축되는게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사진=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

신호정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실장은 첫 번째 주제발표에서 '자동차 관련 공급망 규제와 대응방안'을 주제로 독일 등 유럽 완성차 업체들이 협력사에 ESG 평가 결과와 Scope3 탄소 정보, 재활용 소재 사용 등 공급망 데이터를 요구하는 사례가 급증하고 있음을 설명했다.

신 실장은 “국내 자동차산업은 다단계 공급망 구조로 인해 하위 티어 영세업체들의 규제 대응 역량이 특히 부족하다”며 "주요국이 자국 산업에 적합한 공급망 데이터 플랫폼을 속속 구축하는 만큼, 우리도 데이터 주권을 보호하면서 글로벌 표준에 부합하는 독자적인 플랫폼 마련이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또한 “자동차산업의 복잡한 공급망 특성을 고려할 때, 공급망 전체를 아우르는 디지털 플랫폼을 통해 규제 대응 체계를 일원화해야 하며, 이를 위한 민·관의 실질적인 논의가 확대되길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사진=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

이어서 두 번째 주제발표에서 임헌정 한국자동차연구원 실장은 '국내 자동차 데이터 플랫폼 구축 현황 및 공급망 데이터 플랫폼으로의 활용 방안'을 주제로 연설했다. 임 실장은 "산업통상자원부가 2021년부터 2025년까지 수행 중인 ‘자동차데이터플랫폼’ 사업을 통해 국내외에 흩어진 데이터를 수집·제공하고 있다"며, "뿐만 아니라 클라우드·GPU 기반의 데이터 분석·개발 환경을 지원하고 있다"고 말했다. 

뿐만 아니라, 임 실장은 “EU Catena-X 프로젝트가 해외 완성차 업체의 참여로 가시적 성과를 내고 있는 만큼, 국내도 Catena-X 방식을 우선 도입해 활용 경험을 쌓고, 이후 국내 환경에 특화되면서도 해외와 연동 가능한 공급망 데이터 플랫폼을 개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한다포럼 김인숙 대표 주재로 강명구 디지털 ESG 얼라이언스 사무총장, 김동수 김앤장 ESG 경영연구소 소장, 이정준 서울대학교 공학전문대학원 교수, 김진효 현대차 책임, 정성철 HL만도 실장, 김영훈 한국자동차산업협동조합 실장, 윤경선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 상무, 이상은 산업부 산업환경과 과장이 패널로 참여한 가운데 토론이 진행됐다. 

[사진=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

강명구 디지털ESG얼라이언스 사무총장은 "CBAM과 DPP 등 글로벌 환경 규제에 자동차 산업이 포함되는 것은 시간문제이며, EU Catena-X 실증이 완료되는 시점부터 본격적으로 적용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동수 김앤장 ESG경영연구소 소장은 "자동차 산업의 데이터 스페이스 구축을 위해 초기 단계에서 공급망 협력업체의 참여를 적극 확대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이를 위해 국내 자동차부품사의 참여를 촉진할 방안과 함께 데이터 주권 보호를 위한 기술표준 마련, 신뢰성 있는 플랫폼 구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정준 서울대학교 공학전문대학원 교수는 "최근 한-EU 에코디자인 포럼에서 유럽 관계자들과 논의한 결과, Battery Passport를 포함한 EU의 관련 규제가 일정대로 추진 중이"라며, "DPP는 단순한 규제 대응 수단을 넘어 환경 이슈 해결을 위한 솔루션이자, 자동차·배터리 밸류체인 전반의 스마트 제조 전환을 위한 필수 인프라임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데이터스페이스 구축을 위해서는 단순한 플랫폼 개념을 넘어 ‘하이브리드’, ‘SaaS’ 등의 구조적 개념과 아키텍처에 대한 철학적 이해와 기술적 전문성이 병행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진효 현대자동차 책임연구원은 "데이터 플랫폼 구축에 앞서 목적, 기능, 필요성 등을 명확히 정의하고, 기존 체계로 대응이 어려운 부분이 무엇인지 검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뿐만 아니라, "실제 운영을 위해 참여자 독려 방안, 데이터 가공 기능, 데이터 신뢰성 검증 방안 등 제도적 뒷받침이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사진=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

정성철 HL만도 R&D Strategy 실장은 "자동차 산업의 탄소중립 대응을 위해 데이터 공유 플랫폼 구축에 동의한다"면서도, "데이터 소유권과 보안이 보장되는 투명한 운영 체계 마련과 탄소배출 산정 방법론 및 국제 인증체계 구축이 전제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김영훈 한국자동차산업협동조합(KAICA) 실장은 "최근 유럽 완성차 업체들이 부품 납품 시 ESG 평가 결과, Scope 3 탄소 정보, 재활용 소재 사용 여부 등을 요구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며, "국내 부품업체들이 이러한 글로벌 요구에 대응할 수 있도록 방대한 탄소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수집·관리할 수 있는 인프라 제공과 한국형 탄소 데이터 플랫폼 구축이 시급하다"고 설명했다.

윤경선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KAMA) 상무는 "자동차 데이터플랫폼은 공급자 관점이 아닌 이를 활용하는 수요자 관점으로 구축돼야 하고 규제 대응에 초점을 맞춰 기업의 니즈를 정확히 파악해야 한다"며, "아울러 부품업계의 업무부담과 비용부담을 최소화 하는 방향으로 구축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상필 산업부 산업환경과 사무관은 "기업 데이터 주권 보호와 글로벌 규제 대응을 위해 한국형 데이터 스페이스 구축이 필요하다"고 강조하며, "산업 공급망 데이터 스페이스는 안전한 데이터 교환을 통해 기업의 데이터 주권을 보호함과 동시에, 산업 데이터를 AX의 핵심 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는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dlcodn1226@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공지사항

더보기 +

이 시각 이후 방송더보기